Articles, Criticism by Eunji Park
Monthly Art, 2025
실과 기억 사이, 클라라 호스네들로바의 포스트 메모리 미학
"1990년생인 호스네들로바는 체코의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를 직접 겪지 않았지만, 그 시대의 기억과 공명하는 물성... more 실과 기억 사이, 클라라 호스네들로바의 포스트 메모리 미학
"1990년생인 호스네들로바는 체코의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를 직접 겪지 않았지만, 그 시대의 기억과 공명하는 물성과 노동의 흔적, 그리고 신체적인 제스처를 현재에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작가는 천장에서 길게 드리워진 9m 높이의 태피스트리를 자신의 고향인 보헤미아(Bohemia)와 모라비아(Moravia)에서 직접 재배한 아마와 대마 섬유로 제작했다. 체코와 독일의 여러 공방에서 약 1년의 시간을 들여 완성된 이 거대한 작업은 수십 명의 현지 여성 장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직접 식물을 우려내고, 실로 꼬아내고, 손끝으로 엮어낸 직물에는 수 세기에 걸쳐 축적된 여성 노동의 역사가 담겨 있으며, 태피스트리 표면에서 은은하게 배어 나오는 식물의 향은 그 기억을 후각으로도 오롯이 전달한다(…)”
- 월간미술 2025. 9. 1. 발행
Art in Culture, 2025
제13회 베를린비엔날레 <덧없음을 전하다>(6. 14~9. 14) 가 개막했다. 베를린 KW현대미술관과 함부르거 반호프 현대미술관, 소피엔젤레, 모아빗의 옛 법원 건물에서 작... more 제13회 베를린비엔날레 <덧없음을 전하다>(6. 14~9. 14) 가 개막했다. 베를린 KW현대미술관과 함부르거 반호프 현대미술관, 소피엔젤레, 모아빗의 옛 법원 건물에서 작가 60여명이 작품 170여점을 선보였다.
Art In Culture, 2025
"Laboratory of Dead Stars"
Laure Prouvost has been creating immersive spatial installations that... more "Laboratory of Dead Stars"
Laure Prouvost has been creating immersive spatial installations that blend fact and fiction, reality and virtuality. Recently, she opened a solo exhibition titled "We Felt the Stars Dying" (Feb. 21 - May 4) at Kraftwerk Berlin, themed around 'quantum mechanics.' The author ques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within the disconnect between visual spectacle and scientific concepts.
https://artinculture.kr/webzine/we-felt-a-star-dying
Ocula, 2025
What would happen if you encountered another self from one of the countless parallel universes be... more What would happen if you encountered another self from one of the countless parallel universes beyond the world we inhabit? Seoul-based interdisciplinary artist Ayoung Kim explores this question by opening a portal to multiple realms in her exhibition at Hamburger Bahnhof, Many Worlds Over.
https://ocula.com/magazine/insights/ayoung-kim-dances-through-dimensions-berlin/

Design press, 2025
Connecting Art, Politics, and Audiences in Turbulent Times: The 75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 more Connecting Art, Politics, and Audiences in Turbulent Times: The 75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n February 23rd, the 75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rlinale) successfully concluded its 11-day film celebration. Renowned as one of the world's top three film festivals alongside Venice and Cannes, the Berlinale is particularly famous for its selection of films that acutely addres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while emphasizing artistic value and experimentation. This year was especially noteworthy as Tricia Tuttle, the first American to lead the festival in its history, took the helm as the festival director, raising expectations about how her international perspective and leadership would be reflected in the event.
Tuttle expressed her delight at seeing "both experts and general audiences enjoying films that embrace diversity" and evaluated that the festival "provided various pleasure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remembrance, and resistance through film". Her appointment marks a significant shift for the Berlinale, bringing a fresh perspective to this prestigious European film festival.
격변하는 시대 속 예술과 정치, 관객을 잇는 제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지난 23일, 제 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베를리날레)가 11일 간의 영화 축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베니스와 칸 국제 영화제와 함께 세계 3대 영화제로 손꼽히는 베를리날레는 그 중에서도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첨예하게 다루며 예술성과 실험성을 강조한 작품 선정으로 유명하다. 특히 올 해는 베를리날레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인 집행위원장 트리샤 터틀이 영화제를 이끌면서 그녀의 국제적인 안목과 리더십이 이번 영화제에 어떻게 반영될지 기대를 모았다. 터틀 집행위원장은 이번 영화제에서 “전문가와 일반 관객이 함께 다양성을 담고있는 영화를 즐기는 모습에 매우 기쁘다”고 밝히며, 영화를 통해 “다양한 즐거움과 동시에 성찰과 기억, 그리고 저항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Monthly Art Magazine (월간미술), 2025
Exhibition Review_Rirkrit Tiravanija: "DAS GLÜCK IST NICHT IMMER LUSTIG" at Gropius Bau, Berlin (... more Exhibition Review_Rirkrit Tiravanija: "DAS GLÜCK IST NICHT IMMER LUSTIG" at Gropius Bau, Berlin (September 2024 - January 12, 2025)
"The salty and fishy aroma of fish sauce, the sweet scent of coconut milk, and the lingering nutty smell of oil. Even months later, the opening of Rirkrit Tiravanija's exhibition at Gropius Bau last September is still remembered for the distinctive flavors and scents of Thai cuisine, as well as the lively sounds of people eating, drinking, laughing, and chatting together. Gropius Bau is a prominent contemporary art museum in Berlin, boasting classical grandeur and an imposing Neo-Renaissance architectural style. The central atrium, which can be considered the museum's symbol, is a vast space with very high ceilings. Most artists who have exhibited here have presented spectacular installations and large-scale performances. However, instead of installing an overwhelmingly large artwork, Tiravanija set up 8 ping-pong tables, a spiral-shaped wooden stage, and a small cooking station for preparing pad thai in one corner of the exhibition space2. Watching people sharing food, playing ping-pong, and enjoying leisure time throughout the space, the museum that had witnessed the twists and turns of German contemporary history seemed no different from any other park in Berlin."
리크리트 티라바니자 개인전 리뷰_월간미술 2025년 1월호
"짭조름하고 비릿한 피시 소스와 코코넛 밀크의 달콤한 향, 코끝을 맴도는 고소한 기름 냄새. 지난 9월, 그로피우스 바우(Gropius Bau)에서 열린 리크리트 티라바니자(Rirkrit Tiravanija ) 전시 개막식은 몇개월이 지난 지금도 태국 음식 특유의 향과 맛, 함께 먹고 마시며 웃고 떠드는 왁자지껄한 소리로 기억된다. 그로피우스 바우는 베를린의 대표적인 현대 미술관으로, 네오 르네상스 양식의 고전적인 화려함과 웅장한 건축물을 자랑한다. 특히 미술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중앙 아트리움은 층고가 매우 높고 넓게 트인 공간으로, 이곳을 거쳐간 작가 대부분은 스펙터클한 설치와 대규모의 퍼포먼스를 선보여 왔다. 그러나 티라바니자는 이 곳에 압도적인 크기의 작품을 설치하는 대신 탁구대 8대와 목재로 만든 나선형 무대, 그리고 전시장 한 쪽에 팟타이를 요리하기 위한 작은 조리대를 마련했다. 곳곳에서 음식을 나눠 먹고, 탁구를 치며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을 보고 있자니, 독일 현대사의 굴곡을 몸소 겪은 미술관이 베를린의 여느 공원과 다름없어 보였다."
Art in Culture(아트인컬처), 2024
Eternal Anger, Endless Struggle - Anne Imhof Solo Exhibition
Anne Imhof gained global attentio... more Eternal Anger, Endless Struggle - Anne Imhof Solo Exhibition
Anne Imhof gained global attention when she won the Golden Lion award for her work in the German Pavilion at the 2017 Venice Biennale. Recently, her solo exhibition "I Hope You're Gay" was held at the Kunsthaus Bregenz (June 8 - September 22). Based in Berlin, the author provides a thorough analysis of the exhibition's significance through on-site coverage and an interview with the artist.
Naver Desing Press, 2023
즐거운 나의 집에 대한 에포케, 미디어 아티스트 상희의 ‘원룸바벨’
바벨은 고대 도시 바빌론에 존재했다고 알려진 탑이다. 하늘에 닿을 만큼 우뚝 솟았으나 인간의 오만함에... more 즐거운 나의 집에 대한 에포케, 미디어 아티스트 상희의 ‘원룸바벨’
바벨은 고대 도시 바빌론에 존재했다고 알려진 탑이다. 하늘에 닿을 만큼 우뚝 솟았으나 인간의 오만함에 신이 분노해 곧 무너질 운명에 처한 탑. 구약 성경에 단 몇 줄로 묘사됐지만, 도시 문명에 관한 희비극적 요소를 두루 갖춘 서사로 이전부터 문학과 미술, 영화 등에 예술적 모티브로 자주 등장했다. 미디어 아티스트 상희는 VR 작품인 <원룸바벨>(2023)에서 이 ‘바벨탑 쌓기'의 모티브를 지상이 아닌 심해에 소환해 한국의 원룸 세대로 불리는 청년들의 주거현실을 서정적으로 표현했다. 주로 VR과 게임, 사운드 퍼포먼스 작업을 선보여 온 작가는 독립해 갖게 되는 나만의 안락한 집이자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가 방 하나에 비좁게 갖춰진 원룸에 대한 젊은 세대의 복잡다단한 심리상태를 가상의 건축물인 ‘원룸바벨'에 내밀히 풀어낸다.
#인터뷰 전문: 네이버 디자인프레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esignpress2016&logNo=223270527214&categoryNo=7&parentCategoryNo=&from=thumbnailList
Naver Design Press, 2023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의 영화 ‘본즈 앤 올’(2022)은 식인 욕구를 가진 매런과 리의 사랑을 다룬다. 이들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늘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more 루카 구아다니노 감독의 영화 ‘본즈 앤 올’(2022)은 식인 욕구를 가진 매런과 리의 사랑을 다룬다. 이들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늘 자신의 정체성을 숨기거나 존재를 부정하며 살아왔다. 그러다 인생에서 처음으로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사랑해 주는 상대방을 만나 서로의 허기와 굶주림, 결핍을 애정으로 채운다. 에바 페브레가스(Eva Fàbregas)의 개인전 Devouring Lovers를 보고 식인으로 점철된 이들의 핏빛 로맨스가 대번에 떠오른 건 단순히 전시명 때문만은 아니었다. 전시장을 삼켜버린 듯, 천장부터 바닥까지 구석구석에 설치된 페브레가스의 유기적인 형상물은 분홍빛의 패브릭 텍스처에 미세한 움직임까지 더해져 마치 신체에서 떨어져 나간 살점이나 장기를 연상시켰고, 그로테스크함에서 비롯된 아름다움은 압도적인 스케일로 한층 배가 되었다.
* 기사 전문 보기
https://blog.naver.com/designpress2016/223215835230
Monthly Design, 2023
2021년에 시작한 KITeGG는 독일 대학 5곳, 마인츠 응용과학 대학교(Mainz University)와 오펜바흐 예술디자인 대학교(Offenbach University ... more 2021년에 시작한 KITeGG는 독일 대학 5곳, 마인츠 응용과학 대학교(Mainz University)와 오펜바흐 예술디자인 대학교(Offenbach University of Art and Design), 슈베비쉬 그뮌드 응용디자인대학교(Schwäbisch Gmünd University of Applied Design), 쾰른 디자인국제학교(Cologne International School of Design), 트리어 응용과학 대학교(Trier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가 참여한 협동 프로젝트다. 각 학교들은 AI를 전문으로 다루는 랩을 운영 중인데, 마인츠의 autoLab, 오펜바흐의 AI/Robotics Lab, 슈베비쉬의 AI+D Lab, 쾰른의 Living Objects Lab, 트리어의 KIND Lab이 그것이다. 여기서 머신러닝, 자동화, 전자 공학, 지속 가능성, 예술적 실천 및 로봇 공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Naver Design Press, 2023
독립출판물을 좋아하는 이라면 서점 투어만을 목표로 베를린 여행을 계획해 볼 만하다. 2007년부터 운영된 Motto Berlin부터 디자이너의 출판물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A... more 독립출판물을 좋아하는 이라면 서점 투어만을 목표로 베를린 여행을 계획해 볼 만하다. 2007년부터 운영된 Motto Berlin부터 디자이너의 출판물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는 A to Z, 패션과 건축, 미술 서적을 판매하는 do you read me와 Pro qm 등 베를린에서 입지전적인 서점들만 골라 나열한다고 해도 몇 문장에 담기 어려울 정도다. 그중에서 아인부흐하우스(einBuch.haus)는 아티스트 북을 전문적으로 전시하고 판매하는 유일무이한 갤러리다. 아티스트 북을 좋아하는 이로써 아인부흐하우스의 전시 소식을 접할 때면 전시 작품이 무엇이든 일단 방문부터 하고 본다. 이번 인터뷰 기회를 빌려 아인부흐하우스의 김재경 기획자를 만나 전시 매체로서 아티스트 북과 그만의 전시 방법론에 대해 들어봤다.
기사 전문 보기
https://blog.naver.com/designpress2016/223087752186
Public Art, 2021
This article included an interview with ruangrupa, an art director of Kassel documents 15.
Public Art, 2021
This article shows two exhibitions of Katharina Grosse in Berlin in 2020.
Public Art Magazine, 2020
The article focuses on some online/virtual exhibitions in Berlin in Germany and Seoul in Korea.
Public Art, 2020
Lee’s recent solo exhibition Lee Mingwei: 禮 Li,
Gifts and Rituals at Berlin’s Gropius Bau showed ... more Lee’s recent solo exhibition Lee Mingwei: 禮 Li,
Gifts and Rituals at Berlin’s Gropius Bau showed hi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from the last thirty
years exploring art’s potential to be a transformative
gift. Included were condensed representations of all
fifteen projects from the past three decades. According
to Lee, 禮(Li) encompasses a variety of meanings,
from manners and etiquette, propriety and courtesy,
salutations and ceremony, and presents and gifts.
Public Art Magazine, 2019
Public Art Magazine, 2019
Exhibition review in Public Art Magazine(November)
Public Art Magazine, 2019
Public Art(October)
Uploads
Articles, Criticism by Eunji Park
"1990년생인 호스네들로바는 체코의 사회주의 공화국 시기를 직접 겪지 않았지만, 그 시대의 기억과 공명하는 물성과 노동의 흔적, 그리고 신체적인 제스처를 현재에 복원한다. 구체적으로 작가는 천장에서 길게 드리워진 9m 높이의 태피스트리를 자신의 고향인 보헤미아(Bohemia)와 모라비아(Moravia)에서 직접 재배한 아마와 대마 섬유로 제작했다. 체코와 독일의 여러 공방에서 약 1년의 시간을 들여 완성된 이 거대한 작업은 수십 명의 현지 여성 장인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직접 식물을 우려내고, 실로 꼬아내고, 손끝으로 엮어낸 직물에는 수 세기에 걸쳐 축적된 여성 노동의 역사가 담겨 있으며, 태피스트리 표면에서 은은하게 배어 나오는 식물의 향은 그 기억을 후각으로도 오롯이 전달한다(…)”
- 월간미술 2025. 9. 1. 발행
Laure Prouvost has been creating immersive spatial installations that blend fact and fiction, reality and virtuality. Recently, she opened a solo exhibition titled "We Felt the Stars Dying" (Feb. 21 - May 4) at Kraftwerk Berlin, themed around 'quantum mechanics.' The author ques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within the disconnect between visual spectacle and scientific concepts.
https://artinculture.kr/webzine/we-felt-a-star-dying
https://ocula.com/magazine/insights/ayoung-kim-dances-through-dimensions-berlin/
Publisher: Design Press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esignpress2016&logNo=223808868964&categoryNo=14&parentCategoryNo=&from=thumbnailList
On February 23rd, the 75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erlinale) successfully concluded its 11-day film celebration. Renowned as one of the world's top three film festivals alongside Venice and Cannes, the Berlinale is particularly famous for its selection of films that acutely addres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while emphasizing artistic value and experimentation. This year was especially noteworthy as Tricia Tuttle, the first American to lead the festival in its history, took the helm as the festival director, raising expectations about how her international perspective and leadership would be reflected in the event.
Tuttle expressed her delight at seeing "both experts and general audiences enjoying films that embrace diversity" and evaluated that the festival "provided various pleasures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remembrance, and resistance through film". Her appointment marks a significant shift for the Berlinale, bringing a fresh perspective to this prestigious European film festival.
격변하는 시대 속 예술과 정치, 관객을 잇는 제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지난 23일, 제 75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베를리날레)가 11일 간의 영화 축제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베니스와 칸 국제 영화제와 함께 세계 3대 영화제로 손꼽히는 베를리날레는 그 중에서도 사회적, 정치적 이슈를 첨예하게 다루며 예술성과 실험성을 강조한 작품 선정으로 유명하다. 특히 올 해는 베를리날레 역사상 처음으로 미국인 집행위원장 트리샤 터틀이 영화제를 이끌면서 그녀의 국제적인 안목과 리더십이 이번 영화제에 어떻게 반영될지 기대를 모았다. 터틀 집행위원장은 이번 영화제에서 “전문가와 일반 관객이 함께 다양성을 담고있는 영화를 즐기는 모습에 매우 기쁘다”고 밝히며, 영화를 통해 “다양한 즐거움과 동시에 성찰과 기억, 그리고 저항의 기회를 제공했다”고 평가했다.
"The salty and fishy aroma of fish sauce, the sweet scent of coconut milk, and the lingering nutty smell of oil. Even months later, the opening of Rirkrit Tiravanija's exhibition at Gropius Bau last September is still remembered for the distinctive flavors and scents of Thai cuisine, as well as the lively sounds of people eating, drinking, laughing, and chatting together. Gropius Bau is a prominent contemporary art museum in Berlin, boasting classical grandeur and an imposing Neo-Renaissance architectural style. The central atrium, which can be considered the museum's symbol, is a vast space with very high ceilings. Most artists who have exhibited here have presented spectacular installations and large-scale performances. However, instead of installing an overwhelmingly large artwork, Tiravanija set up 8 ping-pong tables, a spiral-shaped wooden stage, and a small cooking station for preparing pad thai in one corner of the exhibition space2. Watching people sharing food, playing ping-pong, and enjoying leisure time throughout the space, the museum that had witnessed the twists and turns of German contemporary history seemed no different from any other park in Berlin."
리크리트 티라바니자 개인전 리뷰_월간미술 2025년 1월호
"짭조름하고 비릿한 피시 소스와 코코넛 밀크의 달콤한 향, 코끝을 맴도는 고소한 기름 냄새. 지난 9월, 그로피우스 바우(Gropius Bau)에서 열린 리크리트 티라바니자(Rirkrit Tiravanija ) 전시 개막식은 몇개월이 지난 지금도 태국 음식 특유의 향과 맛, 함께 먹고 마시며 웃고 떠드는 왁자지껄한 소리로 기억된다. 그로피우스 바우는 베를린의 대표적인 현대 미술관으로, 네오 르네상스 양식의 고전적인 화려함과 웅장한 건축물을 자랑한다. 특히 미술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중앙 아트리움은 층고가 매우 높고 넓게 트인 공간으로, 이곳을 거쳐간 작가 대부분은 스펙터클한 설치와 대규모의 퍼포먼스를 선보여 왔다. 그러나 티라바니자는 이 곳에 압도적인 크기의 작품을 설치하는 대신 탁구대 8대와 목재로 만든 나선형 무대, 그리고 전시장 한 쪽에 팟타이를 요리하기 위한 작은 조리대를 마련했다. 곳곳에서 음식을 나눠 먹고, 탁구를 치며 여가를 즐기는 사람들을 보고 있자니, 독일 현대사의 굴곡을 몸소 겪은 미술관이 베를린의 여느 공원과 다름없어 보였다."
Anne Imhof gained global attention when she won the Golden Lion award for her work in the German Pavilion at the 2017 Venice Biennale. Recently, her solo exhibition "I Hope You're Gay" was held at the Kunsthaus Bregenz (June 8 - September 22). Based in Berlin, the author provides a thorough analysis of the exhibition's significance through on-site coverage and an interview with the artist.
바벨은 고대 도시 바빌론에 존재했다고 알려진 탑이다. 하늘에 닿을 만큼 우뚝 솟았으나 인간의 오만함에 신이 분노해 곧 무너질 운명에 처한 탑. 구약 성경에 단 몇 줄로 묘사됐지만, 도시 문명에 관한 희비극적 요소를 두루 갖춘 서사로 이전부터 문학과 미술, 영화 등에 예술적 모티브로 자주 등장했다. 미디어 아티스트 상희는 VR 작품인 <원룸바벨>(2023)에서 이 ‘바벨탑 쌓기'의 모티브를 지상이 아닌 심해에 소환해 한국의 원룸 세대로 불리는 청년들의 주거현실을 서정적으로 표현했다. 주로 VR과 게임, 사운드 퍼포먼스 작업을 선보여 온 작가는 독립해 갖게 되는 나만의 안락한 집이자 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설비가 방 하나에 비좁게 갖춰진 원룸에 대한 젊은 세대의 복잡다단한 심리상태를 가상의 건축물인 ‘원룸바벨'에 내밀히 풀어낸다.
#인터뷰 전문: 네이버 디자인프레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esignpress2016&logNo=223270527214&categoryNo=7&parentCategoryNo=&from=thumbnailList
* 기사 전문 보기
https://blog.naver.com/designpress2016/223215835230
기사 전문 보기
https://blog.naver.com/designpress2016/223087752186
Gifts and Rituals at Berlin’s Gropius Bau showed his
installations and performances from the last thirty
years exploring art’s potential to be a transformative
gift. Included were condensed representations of all
fifteen projects from the past three decades. According
to Lee, 禮(Li) encompasses a variety of meanings,
from manners and etiquette, propriety and courtesy,
salutations and ceremony, and presents and gi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