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375A - 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375A
KR20190086375A KR1020190001591A KR20190001591A KR20190086375A KR 20190086375 A KR20190086375 A KR 20190086375A KR 1020190001591 A KR1020190001591 A KR 1020190001591A KR 20190001591 A KR20190001591 A KR 20190001591A KR 20190086375 A KR20190086375 A KR 20190086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state
controller
information
uni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5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1056B1 (en
Inventor
기코 오카야마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86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3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5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4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system universality, reconfigurability, modular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05B23/023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based on parallel systems, e.g. comparing signals produced at the same time by same type systems and detect faulty ones by noticing differences among their respons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59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zed by the response to fault detection
    • G05B23/0275Fault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e.g. classify fault; estimate cause or root of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ler and a system for obtaining an operation state, capable of more easily analyzing generated failures by more easily obtaining an operation state of a controller which is not responded. The controller (1) controls a field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L). The controll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for storing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ate of a self-device; an NFC function unit (10) having an antenna (11) and a non-volatile memory (12), and establish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a portable terminal device (2); a recording request receiving unit (13) for accepting a recording request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2); and a control unit (15)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on the basis of the received recording request.

Description

컨트롤러,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 및 방법{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0001] 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0002]

본 발명은, 컨트롤러,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기기의 동작 상태를 취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a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acquiring an operation state of a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종래부터, 공조 제어 시스템이나 산업용 제어 시스템은, 센서나 액추에이터 등의 필드 기기나 I/O 단말이 배치되는 말단의 하위층과, 이들을 입출력 대상으로서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상위층에 의한 2계층의 논리 계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Conventionally, a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has a two-layer logical hierarchical structure composed of a lower layer at the end where a field device such as a sensor or an actuator or an I / O terminal is disposed and an upper layer of 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input / Consists of.

또한, 종래부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컨트롤러를 묶어 통합적인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3계층의 논리 계층 구조로 구성되는 공조 제어 시스템이나 산업용 제어 시스템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Conventionally, there is a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configured as a three-layered logical hierarchy structure including a controller for integ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ers as shown in Fig. 9 (see Patent Documents 1 to 3 Reference).

예컨대, 특허문헌 1은, 필드 기기를 감시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각 컨트롤러를 감시 제어하는 상위 컨트롤러와, 상위 컨트롤러를 제어하고, 그 지배 하에 있는 컨트롤러를 통해 필드 기기를 감시 제어하는 중앙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3계층의 논리 계층 구조를 갖는 산업용 제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와, 상위 컨트롤러와, 중앙 감시 장치는 통신 회선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controller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field device, a host controller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each controller, and a central monito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host controller and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field device through the controller under its control Which has a three-layer logic hierarchical structure. In the industrial control system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controller, the upper controller, and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조 제어 시스템이나 산업용 제어 시스템에서는, 통상 운용시에 있어서는, 각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는, 통신 회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감시 장치의 PC 또는 엔지니어링 툴의 PC에 의해 취득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or industrial control system, in the normal operatio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each controller is acquired by a PC of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or a PC of the engineering tool via a network such as a communication line do.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8446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84468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0677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2014-006779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70779호 공보[Patent Document 3] JP-A-2009-270779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컨트롤러 등의 기기가 통신 장애 등에 의해 무응답으로 되었을 경우에, 중앙 감시 장치는,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통신 회선을 경유하여 취득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발생한 장애에 대해서 해석을 행하는 경우에 원인 구명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when the device such as the controller becomes unresponsive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or the like,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can not acqui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via the communication line.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ause when an analysis is performed on a fault that has occurred.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무응답으로 된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취득하여, 발생한 장애의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컨트롤러 및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ler and a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which can more easily acquire an operation state of a controller that is non-responding and can analyze the occurrence of a failure more easily. .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는,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자장치(自裝置)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동작 상태 기억부와, 안테나와 불휘발성 메모리를 가지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NFC 기능부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자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접수하는 기록 요구 접수부와, 접수된 상기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상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NFC 기능부가 갖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comprising: an operating state storage section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a self- An NFC function section having a nonvolatile memory and for establishing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nd a control section for receiving a write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lf- And a control unit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in the nonvolatile memory having the NFC functional unit based on the write request received and the received write reques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기억부로부터 상기 자장치의 에러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여도 좋다.In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ction may read the error information of the self apparatus from the operation state storing section and write the error information into the nonvolatile memo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기억부로부터 상기 자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관한 통계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여도 좋다.In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rea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network interface of the self apparatus from the operation status storage unit and write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nonvolatile memo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은,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트롤러이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 요구를 송출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휴대 단말측 NFC 기능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송출하는 기록 요구 송출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NFC 기능부가 갖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부와, 상기 동작 상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evice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d the controller is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 Said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omprising: a portable terminal side NFC functional unit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to said controller to establis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recording request transmission unit for sending a recording request of information relat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said controller; A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having the NFC functional unit of the controller; and a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acquired by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And a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상태 취득 방법은,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확립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출된, 자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접수하는 기록 요구 접수 단계와, 접수된 상기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동작 상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acquiring an operation state, comprising: a communication establishing step of establishing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 step of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lf- And a control step of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in the nonvolatile memory based on the received write request.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접수된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기 때문에, 무응답으로 된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발생한 장애의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is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based on the write reques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by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refore, can do.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the fault can be more easily analy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동작을 설명한 시퀀스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종래의 공조 제어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tate obtai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ardware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qu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C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a display example of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대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Fig. Components common to the respectiv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실시형태][Embodiment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1A)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operation state obtaining system 1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1A)은, 컨트롤러(1)와, 휴대 단말 장치(2)를 포함한다.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1A)은, 2계층이나 3계층의 논리 계층 구조를 갖는 공조 제어 시스템이나 산업용 제어 시스템 등에 설치된다.1, the operation state obtaining system 1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1 and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 The operation state obtaining system 1A is installed in an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having a logical hierarchical structure of two or three hierarchies.

컨트롤러(1)는, 공조 제어 시스템이나 산업용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 압력계나 공조(空調) 장치 등의 필드 기기를 감시 및 제어하는 하위 컨트롤러이다. 또한, 컨트롤러(1)는, 복수의 하위 컨트롤러를 감시 및 제어하는 상위 컨트롤러여도 좋다.The controller 1 is a sub-controller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field device such as a pressure gauge or an air conditioner in an air-conditioning control system 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Further, the controller 1 may be an upper controller that monitors and controls a plurality of lower controllers.

컨트롤러(1)는, 통신 회선(L)을 통해 필드 기기(도시하지 않음) 및 중앙 감시 장치(3)와 서로 접속하고 있다. 컨트롤러(1)는, 휴대 단말 장치(2)와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이하 「NFC 통신」이라고 함)을 행한다. 또한, 컨트롤러(1)가 갖는 각 구성의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The controller 1 is connected to a field device (not shown) and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3 via a communication line L. [ The controller 1 performs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hereinafter referred to as " NFC communication ") with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 Details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 will be described later.

휴대 단말 장치(2)는, 입력부(20), 기록 요구 송출부(21), NFC 기능부(22)(휴대 단말측 NFC 기능부), 동작 상태 취득부(23), 동작 상태 기억부(24) 및 표시부(25)를 포함한다.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includes an input unit 20, a recording request sending unit 21, an NFC function unit 22 (portable terminal side NFC function unit), a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23, an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24 And a display unit 25. [0030]

휴대 단말 장치(2)는, 예컨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에 의해 실현된다.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is realized, for example, by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terminal.

입력부(20)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을 접수한다. 입력부(20)는, 휴대 단말 장치(2)에 있어서의 NFC 기능의 온·오프, 기록 요구의 송출 조작, 및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에 대한 편집 조작 등의 입력을 접수한다.The input unit 20 accepts an input operation by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The input unit 2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20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NFC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on the basis of an editing operation for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And the like.

입력부(20)에 입력된 조작이나 지시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기록 요구 송출부(21) 및 NFC 기능부(22)는 각각의 처리를 실행한다.Based on the operation or instruction input to the input unit 20, the recording request sending unit 21 and the NFC functional unit 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xecute respective processes.

기록 요구 송출부(21)는, 입력부(20)의 입력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에 대하여, 컨트롤러(1)(자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송출한다. 기록 요구란,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컨트롤러(1)의 NFC 기능부(10)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하는 것을 컨트롤러(1)에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The recording request sending section 21 sends a request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1 (the self apparatus) to the controller 1 based on the input of the input section 20. [ The write request is a request to the controller 1 to record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of the NFC functional unit 10 of the controller 1 It says.

NFC 기능부(22)는 NFC 통신을 행한다. NFC 기능부(22)는, 컨트롤러(1)의 NFC 기능부(10)에 NFC 통신의 접속 요구를 송출하고, NFC 접속을 확립한다. NFC 기능부(22)는, 도시하지 않은 NFC 컨트롤러 및 NFC 안테나 등을 갖는 NFC 리더라이터에 의해 실현된다.The NFC functional unit 22 performs NFC communication. The NFC functional unit 22 sends an NFC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the NFC functional unit 10 of the controller 1 and establishes an NFC connection. The NFC function unit 22 is implemented by an NFC reader / writer having an NFC controller and an NFC antenna (not shown).

동작 상태 취득부(23)는, 중앙 감시 장치(3)에 있어서 무응답으로 되어 있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취득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상태 취득부(23)는, NFC 통신에 의해, 컨트롤러(1)의 NFC 기능부(10)가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취득한다.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ection 23 acquires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which is the non-response in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3.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ection 23 acquir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possessed by the NFC functional section 10 of the controller 1 by NFC communication Get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동작 상태 취득부(23)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예컨대, 컨트롤러(1)의 에러 로그 등의 에러 정보, 및 이더넷(Ethernet: 등록상표) 통계 정보 등의 통신 통계 정보(컨트롤러(1)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관한 통계 정보) 등을 취득한다.The operation state obtaining section 23 obtain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by using error information such as an error log of the controller 1 and communic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Ethernet (registered trademark) (Statistical information concerning the network interface of the controller 1), and the like.

동작 상태 기억부(24)는, 동작 상태 취득부(23)에 의해 취득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24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acquired by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23. [

표시부(25)는, 동작 상태 취득부(23)에 의해 취득되고, 동작 상태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5)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표시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display unit 25 display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that is acquired by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23 and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24. [ An example of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display unit 25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컨트롤러(1)의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 will be described.

컨트롤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회선(L)을 통해 중앙 감시 장치(3) 및 제어 대상의 필드 기기(도시하지 않음)와 접속하고 있다.1, the controller 1 is connected to the central monitoring device 3 and a field device (not shown) to be controll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L. [

컨트롤러(1)는, NFC 기능부(10), 기록 요구 접수부(13), 동작 상태 기억부(14) 및 제어부(15)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1 includes an NFC functional unit 10, a write request reception unit 13, an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and a control unit 15.

NFC 기능부(10)는, 안테나(11)와 불휘발성 메모리(12)를 갖는 NFC 태그에 의해 실현된다. NFC 기능부(10)는 NFC 통신을 행한다. NFC 기능부(10)는,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NFC 접속을 확립한다. The NFC functional unit 10 is realized by an NFC tag having an antenna 11 and a nonvolatile memory 12. [ The NFC functional unit 10 performs NFC communication. The NFC functional unit 10 establishes an NFC connec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

또한, NFC 기능부(10)에 대해서는, 휴대 단말 장치(2)측에 의한 NFC 통신에 의한 액세스와, 컨트롤러(1)의 제어부(15)측에 의한 후술하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록상표, 이하 동일함)를 통한 액세스를 동시에 행할 수는 없다.The NFC function unit 10 is accessed by the NFC communication by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and by the I 2 C (Inter-Integrated Circuit: Registered trademark, the same applies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안테나(11)는, NFC 통신에 대응한 안테나이다.The antenna 11 is an antenna corresponding to NFC communication.

불휘발성 메모리(12)는, NFC 태그에 내장되어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이다. 불휘발성 메모리(12)는, 예컨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록상표, 이하 동일함)으로 실현된다. 불휘발성 메모리(12)는, 기억하는 데이터의 소거 및 재기록이 가능하고, 재기록 횟수에는 한도를 갖는다.The nonvolatile memory 12 is a nonvolatile memory incorporated in an NFC tag. The nonvolatile memory 12 is realized by, for example, an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The nonvolatile memory 12 is capable of erasing and rewriting data to be stored, and has a limit on the number of times of rewriting.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2)는, 휴대 단말 장치(2)가 갖는 기록 요구 송출부(21)에 의해 송출된 기록 요구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The nonvolatile memory 12 temporarily stores a write request sent by the write request sending section 21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12)에는, 컨트롤러(1)가 포함하는 2선식 인터페이스인 I2C(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어부(15)에 의해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다.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is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by the controller 15 via I 2 C (not shown), which is a two-wire type interface included in the controller 1.

기록 요구 접수부(13)는, 휴대 단말 장치(2)의 기록 요구 송출부(21)로부터 송출된 기록 요구를 접수한다.The write request accepting unit 13 accepts a write request sent from the write request sending unit 21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

동작 상태 기억부(14)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작 상태 기억부(14)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에러 로그 등의 에러 정보나 이더넷 통계 정보 등의 통신 통계 정보를 기억한다. 동작 상태 기억부(14)는, 예컨대, RAM에 의해 실현된다.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stores, a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communic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such as error information such as an error log and Ethernet statistical informatio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is realized by, for example, a RAM.

제어부(15)는, 통신 회선(L)을 통해 컨트롤러(1)에 접속되어 있는 필드 기기 등의 제어나 감시를 실행하고,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동작 상태 기억부(14)에 기록한다. 또한, 제어부(15)는, 기록 요구 접수부(13)에 의해 접수된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동작 상태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한다.The control unit 15 performs control or monitoring of field devices and the lik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 via the communication line L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to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 . The control unit 15 also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on the basis of the write request received by the write request reception unit 13 into the nonvolatile memory 12).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5)는, 불휘발성 메모리(12)에 일시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기록 요구를 판독하고, 기록 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5)는, 동작 상태 기억부(14)로부터 에러 정보의 현재값 및 통신 통계 정보의 현재값을 판독하고,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5 reads a write request temporarily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and executes write processing. The control unit 15 reads the current value of the error information and the current value of the communic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from the operating state storage unit 14 and records the current value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

제어부(15)가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하는 에러 정보는, 예컨대, 에러 로그의 경우에는, 에러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에러의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와, 에러 로그의 일시, 에러 도메인 ID 및 에러 코드와, 도메인명과, 에러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The error information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by the control unit 15 includes, for example, information indicating the occurrence status of the error, information indicating the level of the error, date and time of the error log, An ID and an error code, a domain name, and error detail information.

제어부(15)가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하는 통신 통계 정보는, 예컨대, 이더넷의 통계 정보의 경우에는, 수신 성공 프레임수, 수신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수, 수신 멀티캐스트 프레임수, 수신 성공 바이트 총수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statistical information of Ethernet, the communic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that the control unit 15 records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includes the number of successfully received frames, the number of received broadcast frames, the number of received multicast frames, And the like.

[컨트롤러의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nfiguration of controller]

다음으로, 컨트롤러(1)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0)는, 버스(101)를 통해 접속되는, CPU(103)와 주기억부(104)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102), 통신 제어 장치(105), 기억 장치(106), 안테나(107) 및 I/F(108)을 포함하는 컴퓨터와, 이들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Next,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l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the controller 100 includes an arithmetic unit 102 including a CPU 103 and a main storage unit 104 connected via a bus 101,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5, A computer including the device 106, the antenna 107, and the I / F 108,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se hardware resources.

CPU(103)와 주기억부(104)는 연산 장치(102)를 구성한다. 주기억부(104)에는, CPU(103)가 각종 제어나 연산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연산 장치(102)에 의해, 도 1에서 도시한 컨트롤러(1)의 기능이 실현된다. 또한, 도 1에서 도시한 불휘발성 메모리(12)는, 주기억부(104)에 의해 실현된다.The CPU 103 and the main storage unit 104 constitute a computing device 102. [ In the main storage unit 104, a program for the CPU 103 to perform various controls and calculations is stored in advance. The function of the controller 1 shown in Fig. 1 is realized by the arithmetic unit 102. Fig. The nonvolatile memory 12 shown in Fig. 1 is realized by the main memory unit 104. Fig.

통신 제어 장치(105)는, 컨트롤러(100)와 각종 외부 전자기기 사이를 네트워크 접속하기 위한 제어 장치이다. 통신 제어 장치(105)에 의해, 도 1에서 도시한 NFC 기능부(10)의 기능이 실현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105 is a control device for network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ler 100 and variou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e function of the NFC functional unit 10 shown in Fig. 1 is realized by th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105. Fig.

기억 장치(106)는, 기록 및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와, 그 기억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한 구동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 장치(106)에는, 기억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106)는, 동작 정보 기억부(106a), 프로그램 저장부(106b), 도시하지 않은 그 밖의 저장 장치이며, 예컨대, 이 기억 장치(106) 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백업하기 위한 저장 장치 등을 가질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106 is composed of a storage medium capable of recording and reading, and a drive device for recording and rea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grams and data for the storage medium. As the storage device 106, a hard disk or a semiconductor memory can be used as the storage medium. The storage device 106 is an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section 106a, a program storage section 106b, and other storage devices not shown.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106 is a device for backing up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06 And the like.

동작 정보 기억부(106a)는, 예컨대, 컨트롤러(1)의 과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보를 기억한다.The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6a stores information indicating the past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for example.

프로그램 저장부(106b)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NFC 통신, 기록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106b stores various programs for executing processing necessary for NFC communication, recording processing,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안테나(107)는, NFC 통신에 대응한 안테나이며, 도 1의 NFC 기능부(10)에 포함되는 안테나(11)에 대응한다.The antenna 107 corresponds to the antenna 11 included in the NFC function unit 10 shown in Fig. 1, and corresponds to the NFC communication.

I/F(108)는, 각종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I/F(108)는, 도 1에서 설명한, 컨트롤러(1) 내에서 제어부(15)와 NFC 기능부(10)를 접속하는 I2C를 구성한다.The I / F 108 is an input / output interface for connecting various devices. The I / F 108 constitutes I 2 C that connects the control unit 15 and the NFC functional unit 10 in the controller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휴대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nfiguration of portable terminal device]

다음으로, 휴대 단말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200)는, 버스(201)를 통해 접속되는, CPU(203)와 주기억부(204)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202), 통신 제어 장치(205), 기억 장치(206), 안테나(207), 입력 장치(208), 및 표시 장치(209)를 포함하는 컴퓨터와, 이들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Next, the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00 includes an arithmetic unit 202 including a CPU 203 and a main storage unit 204, a communication control unit 205 connected via a bus 201, A storage device 206, an antenna 207, an input device 208, and a display device 209,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se hardware resources.

CPU(203)와 주기억부(204)는 연산 장치(202)를 구성한다. 주기억부(204)에는, CPU(203)가 각종 제어나 연산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The CPU 203 and the main storage unit 204 constitute a computing device 202. In the main storage 204, a program for performing various controls and calculations by the CPU 203 is stored in advance.

통신 제어 장치(205)는, 도 1에서 도시한 NFC 기능부(22)의 기능을 실현한다.Th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5 realizes the function of the NFC functional unit 22 shown in Fig.

기억 장치(206)는, 기록 및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와, 그 기억 매체에 대하여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 및 판독하기 위한 구동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 장치(206)에는, 기억 매체로서 하드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206)는, 동작 상태 기억부(206a), 프로그램 저장부(206b), 도시하지 않은 그 밖의 저장 장치이며, 예컨대, 이 기억 장치(206) 내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백업하기 위한 저장 장치 등을 가질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206 is composed of a storage medium capable of recording and reading, and a drive device for recording and rea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grams and data for the storage medium. As the storage device 206, a hard disk or a semiconductor memory can be used as the storage medium. The storage device 206 is an operation state storage section 206a, a program storage section 206b, and other storage devices not shown. For example, the storage device 206 is a device for backing up programs and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6 And the like.

동작 상태 기억부(206a)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동작 상태 기억부(24)에 대응하고, 동작 상태 취득부(23)가 취득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기억된다.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206a sto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which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24 shown in Fig. 1 and which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23 acquires.

프로그램 저장부(206b)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NFC 통신, 동작 상태 취득 처리나 표시 처리 등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206b stores various programs for executing the processing required to perform NFC communicatio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processing, display processing, and the like in the present embodiment.

안테나(207)는, NFC 통신에 대응한 안테나이다.The antenna 207 is an antenna corresponding to NFC communication.

입력 장치(208)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나 텐키,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입력 장치(208)에 의해, 도 1에서 도시한 입력부(20)가 실현된다. 또한, 입력 장치(208)는, 후술하는 표시 장치(209)의 표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The input device 208 is provided with a character key or a key for inputting characters, function keys for realizing various functions, and the like. The input unit 208 shown in Fig. 1 is realized by the input device 208. Fig. The input device 208 may be constituted by a touch panel disposed on a surface of a display device 209 to be described later.

표시 장치(209)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된다. 표시 장치(209)에는, 입력 장치(208)에 의한 입력 결과가 표시되거나, 컨트롤러(100)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표시 장치(209)에 의해 도 1에서 도시한 표시부(25)가 실현된다.For the display device 209, a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is used. In the display device 209, the input result by the input device 208 is displayed or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00 is displayed. And the display unit 209 realizes the display unit 25 shown in Fig.

[컨트롤러의 동작][Operation of controller]

전술한 구성을 갖는 컨트롤러(1)의 동작에 대해서,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휴대 단말 장치(2)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NFC 기능을 유효하게 하는 설정 정보가 입력된다. 휴대 단말 장치(2)가, NFC 통신의 대상 범위 내, 예컨대, 컨트롤러(1)로부터 10 cm 등의 범위로 이동하면, 컨트롤러(1)의 NFC 기능부(10)는, 휴대 단말 장치(2)의 NFC 기능부(22)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한다(단계 S1).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First, i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setting information for enabling the NFC function is inputted based on the user's operation. The NFC function unit 10 of the controller 1 is set to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wh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moves within a target range of the NFC communication, And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NFC functional unit 22 of the mobile station 10 (step S1).

다음으로, NFC 기능부(10)는, 휴대 단말 장치(2)와의 접속을 확립한다(단계 S2). NFC 접속이 확립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2)와 컨트롤러(1)는 NFC 통신에 의한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해진다.Next, the NFC functional unit 1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step S2). By establishing the NFC connectio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and the controller 1 can exchange data by NFC communication.

다음으로, 기록 요구 접수부(13)는, 휴대 단말 장치(2)의 입력부(20)에 입력되고, 기록 요구 송출부(21)에 의해 송출된 기록 요구를 접수한다(단계 S3).Next, the write request accepting section 13 is inputted to the input section 20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and accepts the write request transmitted by the write request sending section 21 (step S3).

그 후, 제어부(15)는, 기록 요구 접수부(13)에 의해 접수된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동작 상태 기억부(14)에 기억되어 있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판독하고, 불휘발성 메모리(12)의 소정 영역에 기록을 행한다(단계 S4). 또한, 제어부(15)는, 불휘발성 메모리(12)의 소정 영역에 오래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오래된 데이터를 소거하고,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기록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5 sets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based on the write request received by the write request reception unit 13, And writes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nonvolatile memory 12 (step S4). When there is old data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nonvolatile memory 12, the control unit 15 erases the old data and records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컨트롤러의 동작 시퀀스][Controller operation sequence]

다음으로, 컨트롤러(1)의 동작 시퀀스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 NFC 통신의 접속 요구가 송출된다(단계 S101). 컨트롤러(1)는,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NFC 통신을 확립한다(단계 S102).Next,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ontroller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As shown in Fig. 5, first, a connection request for NFC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step S101). The controller 1 establishes NFC communic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request (step S102).

NFC 통신이 확립되면, 휴대 단말 장치(2)는, 컨트롤러(1)에 기록 요구를 송출한다(단계 S103). 다음으로, 컨트롤러(1)는, 기록 요구를 접수하면, 동작 상태 기억부(14)로부터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판독하고, 컨트롤러(1)의 NFC 기능부(10)에 있어서의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을 행한다(단계 S104).When the NFC communication is established,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sends a write request to the controller 1 (step S103). Next, upon receipt of the write request, the controller 1 reads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concer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from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4,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step S104).

다음으로, 휴대 단말 장치(2)는,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취득한다(단계 S105). 그 후, 휴대 단말 장치(2)는, 취득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현재값을 표시부(25)에 표시한다(단계 S106).Next,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acquires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step S105). Thereafter,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displays the current value of the information on the acquired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on the display section 25 (step S106).

여기서, 휴대 단말 장치(2)의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표시예에 대해서 도 6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 examples of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8. Fig.

도 6a 내지 도 6c는 표시부(25)에 있어서의 화면의 기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6A to 6C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screen in the display section 25. Fig.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장치(2)의 표시부(25)에 있어서, 영역 a1에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명칭인 레코드명이 표시되고, 영역 a2에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상세가 리스트 표시된다.6A, in the display section 25 of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the record name, which is the nam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te, is displayed in the area a1, and the details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re shown in the list a2 Is displayed.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 6a에 도시된 영역 a2에 표시되어 있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상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탭한 경우에는, 선택된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영역 a4에 확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한 편집이 가능해진다. 또한, 영역 a3에는, 도 6a의 영역 a1과 마찬가지로 레코드명이 표시된다. 영역 a5에는 편집 조작의 입력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6B,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details of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displayed in the area a2 shown in Fig. 6A and taps, information indicating the selected operation state is displayed in the area a4, and editing by the user becomes possible. In the area a3, the record name is displayed similarly to the area a1 in Fig. 6A. An input button for editing operation is displayed in the area a5.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5)는, 풀 스크린 화면의 영역 a7에,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편집 가능한 데이터로서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영역 a6에는,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명칭을 나타내는 레코드명이 표시된다.Further, as shown in Fig. 6C, the display unit 25 may display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as editable data in the area a7 of the full screen screen. In the area a6, the record name indicating the name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state is displayed.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을 수반하지 않을 정도의 소량의 데이터로 이루어진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가 편집 가능하게 표시되는 경우만 다이얼로그에 의한 표시로 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풀 스크린 표시로 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s. 6A to 6C, the dialogue display is performed only when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made up of a small amount of data not involving scrolling is editably displayed. In other cases, Display may be employed.

도 7a 및 도 7b는, 표시부(25)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구체적인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에러 로그가 표시부(25)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Figs. 7A and 7B are views showing specific display examples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in the display section 25. Fig. A case where an error log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a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will be described.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a8에는, 각 에러 로그의 에러의 레벨에 따른 라벨, 및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영역 a9에는, 에러 로그 일시, 에러 코드 및 에러 명칭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7A, in the area a8, a label and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error level of each error log are displayed. In the area a9, error log date and time, error code, and error name are displayed.

도 7b는, 사용자가, 도 7a에 도시된 소정의 에러 로그를 선택한 경우에 표시부(25)에 표시되는 에러의 상세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영역 a10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에러 로그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영역 a10에 표시되는 에러 로그의 상세에는, 다이얼로그 타이틀로서, 에러 레벨 아이콘과 에러 로그 일시가 표시된다. 또한, 영역 a10에는, 에러의 내용 등이 표시된다.7B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f an err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error log shown in FIG. 7A. In the area a10, detailed information of the error log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n the details of the error log displayed in the area a10, an error level icon and error log date and time are displayed as dialog titles. In the area a10, the contents of the error and the like are displayed.

도 8은 표시부(25)에 있어서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구체적인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이더넷 통계 정보가 표시부(25)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pecific display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in the display section 25. As shown in Fig.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ase where Ethernet statistic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 a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a11에는, 통계 정보가 리스트 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역 a11에는, 이더넷 통계 정보의 카운트수가 리스트 표시된다. 표시 항목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성공 프레임수, 수신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수, 수신 멀티캐스트 프레임수 등이 포함된다.As shown in Fig. 8, in the area a11, statistic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 list. More specifically, a count number of Ethernet statistical information is displayed in the area a11. As shown in Fig. 8, the display items include the number of successfully received frames, the number of received broadcast frames, the number of received multicast frames, and the like.

또한, 각 항목에는, 예컨대, 「Info」나 「Error」 등, 에러 레벨에 따른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통계 정보의 항목의 레벨이 「Error」인 것에 대해서는, 카운트값이 0인 경우에는 표시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카운트값이 오를 가능성이 없는 항목의 표시 항목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Icons corresponding to error levels such as " Info " and " Error " are displayed in each item. In the case where the level of the item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s " Error ", it may be adopted that the count value is not displayed when the count value is zero. Thus, it become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display items of items in which the count value is unlikely to increase.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장애의 발생 등에 의해 통신 회선(L)이 단절되면, 중앙 감시 장치(3)에 있어서 컨트롤러(1)가 무응답으로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1A)은, 무응답으로 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As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mmunication line L is disconnect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communication failure or the like, the controller 1 of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3 becomes unresponsive. In such a case,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1A acqui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in the non-response mode.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1A)은, 중앙 감시 장치(3)에 있어서 무응답으로 되어 있는 컨트롤러(1)와 휴대 단말 장치(2)가 NFC 통신으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그 때문에, 중앙 감시 장치(3)가 통신 회선(L)을 통해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여도, 중앙 감시 장치(3)와의 통신이 단절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The operation state obtaining system 1A exchanges data between the controller 1 and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which are not responded to in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3 by NFC communication. Therefore, even if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3 can not obtai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via the communication line L,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monitoring apparatus 3 .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NFC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2)로부터 접수된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12)에 기록하기 때문에, 무응답으로 된 컨트롤러(1)의 동작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발생한 장애의 해석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is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12 based on the write reques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2 by NFC communicati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1 can be obtained more easily.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the fault can be more easily analyzed.

이상, 본 발명의 컨트롤러,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 및 동작 상태 취득 방법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에 기재한 발명의 범위에서 당업자가 상정할 수 있는 각종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controller,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deformations.

1, 100 : 컨트롤러 1A :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
2 : 휴대 단말 장치 3 : 중앙 감시 장치
10 : NFC 기능부 11 : 안테나
12 : 불휘발성 메모리 13 : 기록 요구 접수부
14, 24, 206a : 동작 상태 기억부 15 : 제어부
20 : 입력부 21 : 기록 요구 송출부
22 : NFC 기능부(휴대 단말측 NFC 기능부) 23 : 동작 상태 취득부
25 : 표시부 101, 201 : 버스
102, 202 : 연산 장치 103, 203 : CPU
104, 204 : 주기억부 105, 205 : 통신 제어 장치
106, 206 : 기억 장치 106a : 동작 정보 기억부
106b, 206b : 프로그램 저장부 107, 207 : 안테나
108 : I/F 208 : 입력 장치
209 : 표시 장치
1, 100: Controller 1A: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2: Portable terminal device 3: Central monitoring device
10: NFC function part 11: antenna
12: nonvolatile memory 13: write request reception unit
14, 24, 206a: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15:
20: input unit 21: recording request transmission unit
22: NFC functional unit (portable terminal side NFC functional unit) 23:
25: display section 101, 201: bus
102, 202: computing device 103, 203: CPU
104, 204: main storage unit 105, 205: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106, 206: storage device 106a: operation information storage unit
106b, 206b: a program storage unit 107, 207: an antenna
108: I / F 208: Input device
209: Display device

Claims (5)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자장치(自裝置)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동작 상태 기억부와,
안테나와 불휘발성 메모리를 가지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NFC 기능부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자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접수하는 기록 요구 접수부와,
접수된 상기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상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NFC 기능부가 갖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An operation state storage section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lf device;
An NFC function unit having an antenna and a nonvolatile memory and establish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 recording request accepting unit for accepting a request for recording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state of the self apparatus,
And a control unit which record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in the nonvolatile memory having the NFC functional unit based on the received write request,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기억부로부터 상기 자장치의 에러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reads error information of the self apparatus from the operation state storing unit and writes the error information to the nonvolatile memor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 상태 기억부로부터 상기 자장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관한 통계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rol unit read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network interface of the self apparatus from the operation status storage unit and writes the statistical information in the nonvolatile memory.
휴대 단말 장치와, 통신 회선을 통해 접속된 기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컨트롤러이며,
상기 휴대 단말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 요구를 송출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휴대 단말측 NFC 기능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송출하는 기록 요구 송출부와,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NFC 기능부가 갖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컨트롤러의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동작 상태 취득부와,
상기 동작 상태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상태 취득 시스템.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devic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The controller is the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side NFC functional unit for transmitting a connection request to said controller to establish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recording request transmitting section for transmitting a recording request for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troller;
An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ection that acquire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ler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having the NFC functional section of the controll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acquired by the operation state acquisition unit
And an operation state acquiring unit operable to acquire the operation state information.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확립하는 통신 확립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출된, 자장치의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의 기록 요구를 접수하는 기록 요구 접수 단계와,
접수된 상기 기록 요구에 기초하여, 동작 상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동작 상태에 관한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상태 취득 방법.
A communication establishing step of establish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 recording request accepting step of accepting a recording request of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magnetic apparatus,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 control step of recor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stored in the operation state storage unit into the nonvolatile memory based on the received write request;
And acquiring the operating state.
KR1020190001591A 2018-01-12 2019-01-07 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22410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03179 2018-01-12
JP2018003179A JP2019124998A (en) 2018-01-12 2018-01-12 Controller, operation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375A true KR20190086375A (en) 2019-07-22
KR102241056B1 KR102241056B1 (en) 2021-04-16

Family

ID=6727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591A Expired - Fee Related KR102241056B1 (en) 2018-01-12 2019-01-07 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9124998A (en)
KR (1) KR102241056B1 (en)
CN (1) CN11004569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8884B2 (en) 2019-11-11 2023-11-29 アズビル株式会社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N111432382B (en) * 2020-03-10 2020-12-22 刘天舒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NFC storage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468A (en) 2004-03-29 2005-10-13 Yamatake Corp Equipment management system, sett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ontroller, and program
JP2009270779A (en) 2008-05-08 2009-11-1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4006779A (en) 2012-06-26 2014-01-16 Azbil Corp Engineering method in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R101726304B1 (en) * 2016-07-08 2017-04-12 한국유체기술(주) Water resourc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based internet of things
KR20170092941A (en) * 2016-02-04 2017-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system comprising function of data backup
JP2017143327A (en) * 2016-02-08 2017-08-17 アズビル株式会社 Control apparatus and address set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5251A (en) * 2009-01-16 2010-07-29 Toshiba Cor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115159B2 (en) * 2013-02-01 2017-04-19 株式会社リコー Image forming apparatus and log management system
JP2016006942A (en) * 2014-06-20 2016-01-14 富士通株式会社 Table management apparatus and table management method
CN106557802B (en) * 2015-09-30 2019-08-30 东芝存储器株式会社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170300027A1 (en) * 2015-11-25 2017-10-19 Ebara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water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supp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4468A (en) 2004-03-29 2005-10-13 Yamatake Corp Equipment management system, setting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controller, and program
JP2009270779A (en) 2008-05-08 2009-11-1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4006779A (en) 2012-06-26 2014-01-16 Azbil Corp Engineering method in facilit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KR20170092941A (en) * 2016-02-04 2017-08-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system comprising function of data backup
JP2017143327A (en) * 2016-02-08 2017-08-17 アズビル株式会社 Control apparatus and address setting system
KR101726304B1 (en) * 2016-07-08 2017-04-12 한국유체기술(주) Water resourc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based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24998A (en) 2019-07-25
CN110045690A (en) 2019-07-23
KR102241056B1 (en)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3122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ducts for controlling multiple machines using a seamless user-interface to a multi-display
CN105208015A (en) Application multi-account logi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device
US20080244452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mplementing preview function
KR20190086375A (en) Controller, operating stat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US8977968B2 (en) Pseudo-remote terminal IOTA mobile diagnostics and electronic customer care
EP3361334A1 (en) Monitoring method, monitoring module, and mobile terminal for monitor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CN115795211A (en) Page display method, device,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30191756A1 (en) Analyzing Device Control System
CN103473170B (en) Test macro and method of testing
CN110231922B (en) Mobile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812543A (en) Information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CN106897172A (en) System method to set up, device and terminal
JP5258231B2 (en) Remo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228651B2 (en) Mobile device
US20180321670A2 (en) Mechanical device management system, mechanical device management device, server for managing mechanical device, mechanical device, and mechanical device management method
CN114564796B (en) System reliability analysis method, device,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6991180B (en) A file display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579975A (en) Remote support of a device
CN107943575A (en) Multitask monitoring and managing method and device in SPI NAND
CN114938359A (en) Message group sending, configuring and execut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860125B1 (en) Remote diagnostic method and system of mobile application
CN107016229B (en) Management device for measuring equipment
JP2022186107A (en) Elevator maintenance support system and elevator maintenance support method
JP7388884B2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6408065B1 (en) Process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and proces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4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