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336A - Method of switching user interface mod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switching user interface mod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23336A KR20100123336A KR1020090042505A KR20090042505A KR20100123336A KR 20100123336 A KR20100123336 A KR 20100123336A KR 1020090042505 A KR1020090042505 A KR 1020090042505A KR 20090042505 A KR20090042505 A KR 20090042505A KR 20100123336 A KR20100123336 A KR 20100123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touch
- memo
- screen
- touch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드 별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와 센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 전환 화면을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 화면을 통해 선택된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트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user interface differently for each mode; Displaying a mode switching screen on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a user input unit and a sen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f a selected mode on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mode switching scre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erminals, such as personal computers, laptops, and mobile phones, are diversified in functions, multimedia devices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pictures or videos,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playing games, and receiving broadcasts are provided. ) Is implemented.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Terminal can move It may be divided into a mobile terminal and a stationary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it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may be divid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 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 or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표시, 리스트 표시 등을 포함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복잡해지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를 이용하여 복잡한 메뉴 구조를 단순하게 그리고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는 3 차원 유저 인터페이스 기술이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As various terminals including mobile terminals provide complex and various functions, a user interface (UI) including menu display, list display, etc. is becoming more complicated. Recently,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technology that can implement a complex menu structure simply and colorfully using three-dimensional graphic images has been applied to mobile terminals.
사용자는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유저 인터페이스는 사용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되지 않고, 조정이 가능한 항목들도 제한적이다. 이로 인하여, 일부 사용자들은 복수의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고, 그 중 하나를 사적인 사용 환경에서 사용하고 다른 하나를 직장과 같은 사용 환경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경우, 2 개의 이동 단말기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이동 단말기의 추가 구입 비용, 통신 서비스의 추가 요금 등이 발생된다. A user uses a mobile terminal in various usage environments. However, the user interface is not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the items that can be adjusted are limited. As a result, some users use a plurality of mobile terminals, one of which is used in a private use environment and the other in a use environment such as a workplace. In this cas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arry two mobile terminals is accompanied, the additional purchase cost of the mobile terminal, the additional fee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etc. are generated.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와 이동 단말기의 기본 설정이 변경되도록 한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so that the basic settings of the user interface and the mobile terminal are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은 모드 별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르게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와 센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 전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 화면을 통해 선택된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트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fferently setting the user interface for each mode; Displaying a mode switching screen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a user input unit and a sensing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f a selected mode on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mode switching screen.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사용자 입력을 받는 사용자 입력부 및 센싱부; 모드 별로 다르게 설정된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센싱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 전환 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모드 전환 화면을 통해 선택된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터치 스트린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screen; A user input unit and a sensing unit which receives a user input; A memory for storing user interfaces differently set for each mode; And displaying a mode switching screen on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a user input input through at least one of the user input unit and the sensing unit, and displaying a user interface of a mode selected through the mode switching screen on the touch screen. A control unit is provided.
본 발명은 다양한 모드 별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모드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전환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선택된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와 연동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본 설정도 변경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사용자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하여 다양한 사용자 환경들 각각에 최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various modes and switches the user interface to the selected mod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changes the basic settings of the mobile terminal in conjun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of the selected mode.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adaptively change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er environment to implement a user interface that is optimal for each of the various user environments in on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from each other.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terminal,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 1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동 단말 기에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기능에 따라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방송 관련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by the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be produced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그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The
A/V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The A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이동 단말기(100)에 2개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에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트랙볼,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40)의 센서들도 3D 개체 선택 및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기능을 겸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 이동 단말기의 각도 변화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The
센싱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내장되거나 그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적층된 터치 센서를 포함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인식 가능한 근접거리 이내에서 물체의 유무 및 그 물체의 움직임이나 제스쳐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움직임 변화, 방위 변화, 각도 변화 등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2D 및 3D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 LCD,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The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모듈(151) 상에 터치 센서가 적층되거나 그 디스플레이 모듈(151) 내에 터치 센서가 내장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이미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입력을 받는 입력 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a touch sensor is stacked on th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의 출력 신호로부터 터치점의 좌표와 터치 압력을 계산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어느 지점이 터치되었는지를 알 수 있고 또한, 터치 스크린이 어떠한 압력으로 터치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정전식 터치 센서로 구현되는 경우에,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포인터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스크린의 내부 또는 터치 스크린의 근방에는 근접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may be disposed inside or near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Proximity sensors have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touch sensors. The proximity sensor may b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or the like.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 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senses proximity touch and proximity touch patterns (eg, proximity touch distance, proximity touch direction, proximity touch speed, proximity touch time, proximity touch position,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제반 제어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에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전환되는 다수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들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입/출력되는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6)에는 벨소리, 벨소리 타입 데이터, 알람 데이터, 알람 타입 데이터, 캘린더 데이터, 스케쥴 데이터 등의 기본 설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160)는 터치 입력, 근접 입력 시에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효과음, 햅틱패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모듈 카드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이동 단말기(10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 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식별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모듈은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식별모듈은 인터페이스부(170)의 식별모듈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모듈에는 전화번호, 통화정보, 과금정보 등이 저장된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authority of the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입력부(130)와 센싱부(140)의 출력을 분석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를 전환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모듈(181)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멀티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담당한다.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하여, 메모, 메시지, 그래픽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원하는 다른 무선 통신 가입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이하의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의 예로, 이하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processors. (processors), controlle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microprocessor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the electrical unit for performing a function. In some cases such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by the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이하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In addition, the software codes may be stored in the
도 2a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a 및 도 2b와 같이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바디는 이미지를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 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body includes a case (casing, housing, cover, etc.) that forms an image.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 cases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의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 조작 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 조작 유닛(132)과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사용자가 촉각의 변화를 느끼게 하면서 조작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조작 유닛들(131, 132)은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트랙볼, 조이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조작 유닛들은 3D 맵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조작 유닛과, 3D 개체의 선택 및 제어를 위한 조작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ontent input by the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FIG.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도 2b를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전방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a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들(121,121')은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 다. 음향 출력부(152')는 전방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에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The
이동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방송수신모듈(111)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ntenna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ody of the mobile terminal. An antenna constituting a part of the
이동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body is equipped with a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The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3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applicable to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는 다수의 모드로 나뉘어져 있고, 그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들 각각은 다수의 유저 인터페이스 대기 화면들을 포함하는 3D 입방체(cubic)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드란 사용자 환경에 따라 구분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도 6 및 도 7과 같이 노말 모드, 비지니스 모드, 스포츠 모드, 슬립 모드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그 외에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드들의 개수가 조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user interf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es, and each of the user interface modes may be implemented in a 3D cube form including a plurality of user interface standby screens. Here, the mode is a user interfac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r environment, and may be classified into a normal mode, a business mode, a sport mode, a sleep mode, etc.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the number of mode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들 각각은 위젯 아이콘들(widget)이 배치되는 제1 대기 화면, 사용자가 선택한 상대 가입자 아이콘들이 배치된 제2 대기화면,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콘들이 배치된 제3 대기화면, 단축 실행 아이콘들(shortcut icons)이 배치된 제4 대기화면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위젯 아이콘들은 각 모드별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편집될 수 있으며, 날씨 안내 관련 웹사이트(Website)와 연계된 아이콘, 증시 관련 웹사이트와 연계된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상대 가입자 아이콘은 각 모드별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편집될 수 있는 가족, 친구, 직장 동료 등 전화 통화와 이메일 송/수신,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상대 아이콘의 아이콘으로써, 각각의 아이콘들에는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와 연계되어 있다. 제3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아이콘들은 각 모드별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편집될 수 있는 아이콘들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지영상/동영상 비디오 콘텐츠 파일, 오디오 콘텐츠 파일과 연계되며 또한, 멀티미디어 재생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다. 제4 대기화면에 표시되는 단축 실행 아이콘들은 각 모드별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편집될 수 있는 아이콘들로써 메인 메뉴화면로부터 종속된 다수의 하위 메뉴들을 거쳐 실행되는 하위 기능에 직접 연계된 단축 실행 아이콘들이다. 단축 실행 아이콘들을 선택하면 상위 기능의 메뉴 화면을 거치지 않고 그 단축 실행 아이콘이 지지사는 하위 기능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Each of the user interface modes may include a first standby screen on which widget icons are disposed, a second standby screen on which counterpart subscriber icons selected by a user, a third standby screen on which multimedia content icons are arranged, and shortcut icons ( and a fourth idle screen on which shortcut icons) are arranged. Widget icons displayed on the first standby screen may be selected and edited by the user for each mode, and may include an icon associated with a weather guide website, an icon associated with a stock market related website, and the like. . The counterpart subscriber icon displayed on the second idle screen is an icon of a counterpart icon capable of phone calls, email transmission / reception, and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such as family, friends, and coworkers, which can be selected and edited by the user in each mode. Each icon i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or email address. The multimedia content icons displayed on the third idle screen are icons that can be selected and edited by the user for each mode and are associated with still image / video video content files and audio content files stored in the
각각의 모드에서 유저 인터페이스의 대기화면들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말 모드에서 제1 대기 화면에는 사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위젝 아이콘들이 배치될 수 있고, 비즈니스 모드에서 제2 대기화면에는 업무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위젯 아이콘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노말 모드에서 제2 대기화면에는 가족, 친구 등의 전화 번호와 이메일 어드레스와 연계된 아이콘들이 배치될 수 있고, 비즈니스 모드에서 직장 동료, 업무 관련 지인 등의 전화 번호와 이메일 어드레스와 연계된 아이콘들이 배치될 수 있다. In each mode, standby screens of the user interface may vary according to user selection. For example, widget icons that may be used for personal purposes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tandby screen in the normal mode, and widget icons that may be used for business purposes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tandby screen in the business mode. In the normal mode, the second idle screen may include icons associated with phone numbers and email addresses of family and friends, and icons associated with phone numbers and email addresses of coworkers, business associates, etc. in business mode. Can be arranged.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의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자신의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터치 또는 근접시켜 특정한 형태의 제스쳐로 대기화면들을 현재의 모드 내에서 대기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모드 내에서 대기화면을 전환할 때의 제스쳐와 다른 제스쳐, 또는 다른 터치 압력이나 특정 키를 입력하여 현재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를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The user may change the standby screens in the current mode by using a gesture of a specific type by touching or approaching his or her hand or a stylus pen on the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of the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센서와 근접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 예를 들면, 사용자의 제스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플리 킹(flcking)하는 제스쳐로 판단되면 유저 인터페이스의 현재 모드 내에서 대기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의 모드에서 제1 대기화면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그 제1 대기화면을 좌측으로 플리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제스쳐와 터치 방향을 인식하여 유저 인터페이스의 3D 입방체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대기화면을 제2 대기화면으로 전환시킨다. 사용자는 현재의 모드 내에서 대기화면 전환으로 정해진 제스쳐와는 다른 터치/근접 제스쳐, 현재의 모드 내에서 대기화면 전환으로 정해진 터치 압력과는 다른 터치 압력, 유저 인터페이스의 모드 전환 선택으로 미리 부여된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모드 전환 소프트 키, 이동 단말기(100)의 자세 변화(지자기 센서) 등을 통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The
도 4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모드 전환 방법의 일예를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이미지이다. 도 4 및 도 5는 터치 압력에 따른 모드 전환 방법을 예시한 것이나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의 모드 전환 방법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센싱부(140)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은 도 4 및 도 5의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de switching method of a user interface.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de switching method of FIG. 4. 4 and 5 illustrate a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but as described above, the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user interface is input through a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현재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보여 지는 터치 스크린을 손 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으로 터치할 수 있다.(S41)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의 압력과 터치 좌표를 계산한다.(S42)4 and 5, the user may touch the touch screen shown in the current user interface mode with a finger or a stylus pen. (S41) The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 시에 계산된 터치 입력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S43) 기준값은 제어부(180) 내의 ROM이나 레지스터에 저장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 터치 압력이 기준값보다 크면 현재의 터치 입력을 모드 전환 명령으로 인식하여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모드들 전체를 보여 주는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S45) 모드 선택 화면은 도 5와 같은 그래픽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The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 유저 인터페이스(GUI)의 모드 개수가 2 개이면, 제어부(180)는 터치 압력이 기준값보다 크면 S46 단계를 생략하고 S47 단계로 이행하여 다른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 If the number of modes of the user interface (GUI) set by the user is two, the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 센싱부(140)를 통한 터치/근접 입력으로 모드 선택 화면에 표시된 모드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46) 그러면, 제어부(180)는 선택된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S47)The user may select any one of the modes displayed on the mode selection screen by input through the
S44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이 기준값 이하로 판단되면 터치 입력의 좌표값과 연계되는 터치 명령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48)In operation S44,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s touch pressur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 설정을 유저 인터페이스의 모드별로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노말 모드에서 이 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스케쥴을 가족이나 친구 관련 스케쥴로 설정하고 벨소리 타입을 벨소리만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는 비즈니스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저장된 스케쥴을 업무 관련자나 직장 동료와의 스케쥴로 설정하고 벨소리 타입을 진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벨소리, 벨소리 타입 데이터, 알람 데이터, 알람 타입 데이터, 캘린더 데이터, 스케쥴 데이터 등의 기본 설정 데이터가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별로 분리되어 있다면, 제어부(180)는 S47 단계에서 선택된 모드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할 때 변경된 모드의 기본 설정도 함께 변경할 수 있다. The user may separate not only the user interface but also basic settings of the
도 7은 터치 스크린의 일측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전환 소프트 키를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모드 선택 전환 소프트 키를 사용자 입력부(130)나 센싱부(14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센싱부(140)의 출력에 따라 모드 선택 전환 소프트 키의 선택 여부를 판단하고, 모드 선택 전환 소프트 키가 선택되면 현재 설정된 모든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들을 작은 크기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고 선택된 모드의 기본 설정 데이터로 기본 설정을 변경한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lection switch soft key displayed on one side of a touch screen. The user may select the mode selection change soft key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rough the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터치 압력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된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의 궤적을 그래픽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메모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 다.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 to the touch pressure.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convert the trajectory of the touch input or proximity input input on the touch screen into a graphic image or text and store the memo data.
도 8 내지 도 12는 터치 압력에 따라 일반 메모와 비밀 메모를 분리하여 저장하는 예이다. 이 예에서, 제어부(180)는 메모 작성 화면을 터치 압력에 따라 가상의 제1 및 제2 층으로 분할한다.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시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낮은 압력으로 판단되면 그 터치 입력으로 입력된 메모를 가상의 제1 층(VL1)에 저장한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시의 압력이 기준값보다 크면 그 터치 입력으로 입력된 메모를 제2 층에 입력한다. 8 to 12 illustrate an example of separately storing a general memo and a secret memo according to a touch pressure. In this example, the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메모를 선택할 수 있다.(S81)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메모가 선택되면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도 9 및 도 10과 같은 메모 작성 화면(또는 메모 입력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S82 및 S83)Referring to FIG. 8, a user may select a memo from the user interface. (S81) If a memo is selected by the user, the
사용자가 메모 작성 화면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S84),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의 압력을 계산하고 그 압력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다.(S85 및 S86) 제어부(180)는 터치 압력이 기준값보다 큰 압력이면 그 터치 입력의 궤적 즉, 메모 내용을 그래픽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도 10과 같이 가상의 제2 층(VL2)에 비밀 메모로써 저장한다.(S87 및 S88) 반면에, 제어부(180)는 터치 압력이 기준값 이하의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면 그 터치 입력의 궤적 즉, 메모 내용을 그래픽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도 9와 같이 가상의 제1 층(VL1)에 일반 메모로써 저장한다.(S87 및 S89) 여기서, 비밀 메모는 미리 약속된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30)나 센싱부(140)를 통해 입력될 때에만 재생(또는 노출)되는 메모이다. 일반 메모는 메모 재생 어플리케이션에서 선택될 때 자동으로 재생되는 메모이다. 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memo writing screen is displayed (S84), the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의 방법으로 저장된 비밀 메모와 일반 메모를 재생하는 방법을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secret memos and general memos stored by the method of FIGS. 8 to 10.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유저 인터페이스에서 메모 재생을 선택할 수 있다.(S111)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메모 재생이 선택되면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도 12와 같이 가상의 제1 층에 저장된 일반 메모 내용을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한다.(S112 및 S113)Referring to FIG. 11, a user may select playback of a memo in the user interface. (S111) When the playback of a memo is selected by the user, the
사용자가 일반 메모가 표시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터치 센서의 출력을 분석하여 터치 입력의 압력을 계산하고 그 압력을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한다.(S114 내지 S116) 제어부(180)는 터치 압력이 기준값보다 큰 압력이면 그 터치 입력 근방의 소정 면적에서 가상의 제2 층(VL2)에 저장된 비밀 메모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한다.(S117 및 S118) S118 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터치 압력이 기준값보다 클 때 비밀 메모 내용 전체를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S117 단계에서 터치 압력이 기준값 이하의 상대적으로 작은 압력이면 일반 메모 표시를 유지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on which the general memo is displayed, th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y recording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a program for executing in a computer.
본 발명의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ecuted through software. When implemented in software, the constituent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de segments that perform the necessary work. The program or code segments may be stored on a processor readable medium or transmitted by a computer data signal coupled with a carrier on a transmission medium or network.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device include ROM, RAM, CD-ROM, DVD-ROM, DVD-RAM, magnetic tape, floppy disk, hard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to networked computer device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Figure 2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 Figure 2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대기화면 세트들의 일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idle screen sets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by step a control procedure of a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양한 모드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6 illustrates various modes of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및 저장 방법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by step a control procedure of a memo input and storage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반 메모 입력 및 저장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general memo input and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밀 메모 입력 및 저장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cret memo input and stor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재생 방법의 제어 수순을 단계적으로 보여 주는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showing step by step a control procedure of a memo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재생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mo reproduc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무선 통신부 121 : 카메라 11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1: camera
151: 디스플레이 모듈(터치 스크린) 160: 메모리151: display module (touch screen) 160: memory
180: 제어부180: control unit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2505A KR101599807B1 (en) | 2009-05-15 | 2009-05-15 |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2505A KR101599807B1 (en) | 2009-05-15 | 2009-05-15 |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3336A true KR20100123336A (en) | 2010-11-24 |
KR101599807B1 KR101599807B1 (en) | 2016-03-04 |
Family
ID=4340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25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599807B1 (en) | 2009-05-15 | 2009-05-15 |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9980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32072A (en) * | 2011-05-27 | 2012-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thereof |
KR101349278B1 (en) * | 2011-06-07 | 2014-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20140102937A (en) * | 2013-02-15 | 201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N105183228A (en) * | 2015-09-09 | 2015-12-23 |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 Terminal device and interface switching method |
WO2016085232A1 (en) * | 2014-11-25 | 2016-06-02 |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 Terminal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
CN105760047A (en) * | 2016-01-29 | 2016-07-13 |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rapidly returning to system desktop through pressure touch technology |
WO2017164581A1 (en) * | 2016-03-24 | 2017-09-28 | 주식회사 하이딥 | Mobile terminal facilitating image capture mode switching, and method theref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617A (en) * | 1998-06-05 | 1999-12-24 | Fuji Photo Film Co Ltd | Camera with image display device |
KR20080064025A (en) * | 2007-01-03 | 2008-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ree-dimensional interface |
KR20090005160A (en) * | 2006-05-08 | 2009-01-12 | 노키아 코포레이션 | Operation Mode Switch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9
- 2009-05-15 KR KR1020090042505A patent/KR10159980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5617A (en) * | 1998-06-05 | 1999-12-24 | Fuji Photo Film Co Ltd | Camera with image display device |
KR20090005160A (en) * | 2006-05-08 | 2009-01-12 | 노키아 코포레이션 | Operation Mode Switch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80064025A (en) * | 2007-01-03 | 2008-07-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peration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ree-dimensional interface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32072A (en) * | 2011-05-27 | 2012-12-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de thereof |
KR101349278B1 (en) * | 2011-06-07 | 2014-01-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US8914071B2 (en) | 2011-06-07 | 2014-12-16 | Lg Electronics Inc.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20140102937A (en) * | 2013-02-15 | 2014-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N107430485A (en) * | 2014-11-25 | 2017-12-01 | 摩达伊诺琴股份有限公司 | Terminal control mechanism and the control method using the terminal control mechanism |
WO2016085232A1 (en) * | 2014-11-25 | 2016-06-02 |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 Terminal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
US10250736B2 (en) | 2014-11-25 | 2019-04-02 | Moda-Innochips Co., Ltd. | Terminal controlling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using same |
CN105183228A (en) * | 2015-09-09 | 2015-12-23 | 魅族科技(中国)有限公司 | Terminal device and interface switching method |
CN105760047A (en) * | 2016-01-29 | 2016-07-13 |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rapidly returning to system desktop through pressure touch technology |
CN108370417A (en) * | 2016-03-24 | 2018-08-03 | 希迪普公司 | The mobile terminal and screening-mode conversion method of screening-mode can be converted easily |
JP2019505879A (en) * | 2016-03-24 | 2019-02-28 |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 Mobile terminal with easy switching of shooting mode and shooting mode switching method |
WO2017164581A1 (en) * | 2016-03-24 | 2017-09-28 | 주식회사 하이딥 | Mobile terminal facilitating image capture mode switching, and method therefor |
EP3435654A4 (en) * | 2016-03-24 | 2020-01-08 | Hideep Inc. | Mobile terminal facilitating image capture mode switching,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99807B1 (en) | 2016-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4869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602363B1 (en) | 3 Controling Method of 3 Dimension User Interface Switchov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US8762896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 |
US9575589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9665268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20110312387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US9489130B2 (en) | Mobile terminal selectively acting only part of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10045664A (en) | Menu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same | |
KR20100028699A (en) | Switchover method of identify modules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10016337A (en) | Data display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ying same | |
KR20100094754A (en) | User interface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00050595A (en) | Method of controlling instan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40000742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599807B1 (en) | User interface mode switc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
KR20130132679A (en) | Mobile terminal having flexible display | |
KR101624993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00099447A (en) | Mobile termian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 |
KR20100029611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con thereof | |
KR20100050828A (en) | User interface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10041331A (en) | Display device with built-in optical sensor and its application method | |
KR20110139791A (en) | Method of providing messenger using augmented realit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00050102A (en) | Method of controlling map interworking with applic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20100132864A (en) | Mobile terminal and its gesture input processing method | |
KR101620952B1 (en) | Mobile terminal and widget update method thereof | |
KR101973622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902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9022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