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6755A -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6755A
KR20090106755A KR1020080032079A KR20080032079A KR20090106755A KR 20090106755 A KR20090106755 A KR 20090106755A KR 1020080032079 A KR1020080032079 A KR 1020080032079A KR 20080032079 A KR20080032079 A KR 20080032079A KR 20090106755 A KR20090106755 A KR 20090106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video image
input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80032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06755A/en
Publication of KR2009010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6755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에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메모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메모를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메모 입력 기능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is disclosed.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 for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an image image in a terminal, wherein the image image selected by the user is displayed among the photographed or stored image images. Marking the area; Selecting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Switching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a displayed video image; And when the memo is input,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interface similar to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an actual picture,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memo input function.

Description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Terminal for providing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Method, terminal for providing memo recording func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본 발명은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through a shape change of a video image, a terminal,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최근 전자 공학, 통신 공학, 통신 단말 기술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무선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 기능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communication engineering, and communication terminal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lso have various functions. That 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data processing technology, people can use complex functions by adding not only voice calls but also image processing function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따라서,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도 늘어나고 있으며,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은 촬 영된 영상이나 저장된 영상을 LCD(Liquid Crystal Displayl; 액정 표시 장치)를 이용한 표시영역에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cameras are increasing,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cameras can store image dat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isplay the captured image or the stored image in the display area usin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한편, 이동통신 단말은 영상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사진 등의 영상은 IMGㅇㅇㅇ.jpg 또는 DSCㅇㅇㅇ.jpg와 같이 저장되는 순서대로 ㅇㅇㅇ이라는 일련번호와 함께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the image data, in which the image such as a picture is generally stored with a serial number of ㅇ ㅇ in the order of being stored, such as IMG ㅇ ㅇ .jpg or DSC ㅇ ㅇ .jpg. .

최근에는 영상 데이터와 함께 메모를 저장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사진을 찍은 장소나 사연 등에 사진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이후 저장된 메모를 사진과 함께 표시하여 기억을 되살릴 수 있었다.Recently, a function of storing a memo together with image data has been added. By using this function, the user can store the picture with the picture at the place where the picture was taken or in the story. The user could then display the saved memo along with the photo to recall the memory.

그러나 종래의 메모 입력 기술은 인화지로 구성된 일반적인 사진(특히, 뒷면)에 메모를 기입하는 방법 느낌이 달라서, 사용자는 전자 메모를 수행함에 생소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mo input technology has a different feeling of how to write a memo on a general photo (particularly, the back side) composed of photo paper, and thus, a user may feel unfamiliar with performing an electronic memo.

또한, 종래의 메모 입력 기술은 상술한 생소한 느낌 때문에 메모 입력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단한 제목만 입력하는 등 그 활용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ventional memo input technology has a memo input function because of the unfamiliar feeling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memo input is small, such as inputting a simple tit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화지로 구성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기입하는 것과 유사한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을 제 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similar to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a picture composed of photo paper, the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is recor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cord carri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메모 입력 기능의 활용도를 높이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er interface similar to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the actual picture to provide a memo input function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memo input function, the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recorded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단말에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c)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메모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를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 for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an image image in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an image selected from a user, from a photographed or stored image image; Displaying an image on a display area; (b) selecting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c) switching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d) when a memo is input,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상기 (b) 단계는,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터치 입력 및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입력키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the step (b), any one of a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a memo input key button input for executing the memo input function may be used.

상기 (c) 단계는,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가 회전하는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p (c), the memo input screen may be switched through a shape change in which the displayed video image rotates.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d) 단계 이후에, (e)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추출된 메모가 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형상 변화를 통하여 상기 메모 정보를 표시하는 메모 표시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may include, after step (d), (e) extracting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ideo image when the stored video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f) displaying the extracted memo and switching to a memo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memo information through the shape chan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기 (f) 단계는, 설정된 비율로 축소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step (f), the video image reduced in the set ratio may be further display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이 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은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 받는 입력부;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 및 메모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메모를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 관리부를 포함한다. A terminal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provid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a video image, the display unit displaying a video image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photographed or stored video images. ; An input unit to select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A display control unit which switches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when the memo input function is selected; And a memo manager for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when a memo is input.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터치 입력 및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입력키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o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using any one of a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a memo input key button input for executing the memo input function.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가 회전하는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witch to a memo input screen through a shape change in which the displayed video image rotates.

상기 메모 관리부는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하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메모가 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형상 변화를 통하여 상기 메모 정보를 표시하는 메모 표시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stored video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the memo manager extracts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ideo image, and the display controller indicates that the extracted memo is present, and displays the sha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witching to a memo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memo information through the change.

상기 표시 제어부는, 설정된 비율로 축소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play controller may further display the video image reduced in a set ratio.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having a program recorded thereon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is disclos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단말에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b)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c)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d) 메모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를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is recorded comprises a typed command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 for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a video image in a terminal.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n electronic device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 displaying a video image selected by a user on a display area of a photographed or stored video image; (b) selecting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c) switching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d) when a memo is input,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execu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인화지로 구성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기입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similar to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a photo made of photo paper.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메모 입력 기능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memo input function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similar to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the actual pictur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 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이하, "단말"이라 칭함)은 이동 통신망과 통신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W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 and System)폰 뿐만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 핸드헬드 PC(Hand-Held PC) 및 노트북 PC(Notebook PC) 등과 같이 유무선 인터넷망과 통신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terminal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erminal") is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a WCDMA phone, CDMA-2000, which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o a phone, a mobile broadband and system (MBS) phone, a PC, a personal computer, a hand-held PC, a notebook PC, and the like may include a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또한, 단말은 상술한 통신 단말뿐만 아니라,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MP3 Player),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을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includes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MP3 player, a digital camera, and the like, capable of capturing or storing a video image.

이하에서는 단말이 이동 중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WCDMA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나, 단말은 이러한 단말 유형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WCDMA phone implemented to use a communication service while moving,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rminal is not limited to such a terminal type.

본 발명의 단말은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표시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입력화면을 제공한다.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video image and provides a memo input screen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displayed to the user.

이때, 메모 입력화면은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영상 이미지의 회전 등)을 통하여 전환되는 화면이다. 즉, 단말은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사진의 뒷면 에 메모를 적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In this case, the memo input screen is a screen which is switched through a shape change (rotation of the video image, etc.)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In other words, the terminal provides a user interface similar to a user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a picture offline.

여기서, 영상 이미지는 단말에 저장된 사진, 동영상 캡쳐 이미지, 화상 통화 중 캡쳐 이미지, 스케치 등의 그림 이미지 등의 영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이미지는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일 수도 있다. Here, the video image may include a video image, such as a picture stored in the terminal, a video capture image, a captured image during a video call, a picture image such as a sketch. Alternatively, the image image may be an image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provided in the terminal.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110)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110 that provides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110)은 표시 제어부(111), 메모 관리부(112), 입력부(130), 표시부(114), 통신부(117) 및 저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terminal 110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includes a display control unit 111, a memo management unit 112, an input unit 130, a display unit 114, a communication unit 117, and a storage unit 116. It may include.

표시 제어부(111)는 단말(110)의 표시영역에 영상 이미지, 화면을 표시한다. 즉, 표시 제어부(111)는 후술할 표시부(114)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display controller 111 displays a video image and a screen on the display area of the terminal 110. That is,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14 to be described later.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부(111)는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이미지의 표시는 썸네일(Thumbnail) 형식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썸네일은 사진 등의 영상 이미지의 축소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썸네일은 사진의 탐색을 쉽도록 색인 정보를 포함하는 여러 개의 사진 축소판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In detail, the display controller 111 may display the captured or stored video image on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this case, the display of the video image may be displayed in a thumbnail format. Here, the thumbnail is a thumbnail of a video image such as a photograph. Specifically, thumbnails display a plurality of photo thumbnails including index information on one screen to facilitate the navigation of the pictures.

또한, 표시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11)는 사용자로부터 표시된 영상 이미지에 대한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111)는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된다.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ler 111 displays a video imag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display area. When the memo input function for the video image displayed by the user is selected,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switches to the memo input screen.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is switched to the memo input screen through the shape chang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여기서, 형상 변화는 표시된 영상 이미지가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표시된 영상 이미지는 마치 사진의 뒷면을 표시하듯이, 회전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Here, the shape change may be a rotation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In detail, the displayed video image may be rotated and converted into a memo input screen as if the back side of the picture is displayed.

또는, 형상 변화는 마치 책장을 넘기듯이, 표시된 영상 이미지가 넘어가는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ape change may be converted to a memo input screen through a shape change in which the displayed video image is over, as if turning a bookshelf.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오프라인에서 사진의 뒷면에 메모(사진의 일시나 장소 등)를 적듯이, 단말(11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입력하는 듯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input a memo in the video image stored in the terminal 110 as if a memo (such as the date and time of the picture) is written on the back of the picture offline. That is, the terminal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as if a user inputs a memo on the back of a picture.

또한, 표시 제어부(111)는 메모가 입력된 영상 이미지가 이후 표시되는 경우, 해당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의 존재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제어부(111)는 해당 메모의 표시를 사용자가 요청하는 경우, 해당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표시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ideo image in which the memo is input is displayed later, the display controller 111 may further display the presence of the mem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In this case,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play of the corresponding memo, the display controller 111 may switch to the memo display screen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또한, 표시 제어부(111)는 메모 표시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축소된 해당 영상 이미지를 더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메모가 어떤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인지를 더 쉽게 알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emo display screen is displayed,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may further display the reduced corresponding video image. Therefore, the user can more easily know which video image the memo corresponds to.

메모 관리부(112)는 메모 입력화면을 통하여 입력된 메모를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 관리부(112)는 영상 이미지의 식별정보(또는 저장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메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 관리부(112)는 영상 이미지의 색인 정보와 함께 메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 manager 112 may store the memo input through the memo input screen in the storage area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For example, the memo manager 112 may store memo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storage location information) of a video image. That is, the memo manager 112 may store memo information together with index information of the video image.

또한, 메모 관리부(112)는 특정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11)에 의하여 특정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경우, 메모 관리부(112)는 해당 메모 정보를 저장영역에서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 관리부(112)는 추출된 메모 정보를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메모 관리부(112)는 해당 메모 정보를 표시 제어부(111)에 전달하여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emo manager 112 may extract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video image. For example, when a specific video image is displayed by the display controller 111, the memo manager 112 may extract the memo information from the storage area. The memo manager 112 may display the extracted memo information in a display area when a user request is received. Of course, the memo manager 112 may transmit the memo information to the display controller 111 to display the memo information on the display area.

여기서, 메모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목, 일시, 기록 등을 포함한다. 즉, 메모 정보는 해당 영상 이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첨삭을 원하는 글 등의 입력한 정보이다. Here, the memo information includes a title, date and time, record, and the like input from the user. That is, the memo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putted by a user, such as an article, to be corrected for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30)는 문자키, 숫자키 또는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130)는 터치 스크린(115)(후술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터치(물체나 인체 등의 접촉)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130 receives a memo input function from the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keypad including a text key, a numeric key or a function ke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115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input unit 130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by detecting a user's touch (contact with an object or a human body).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에게 단말(11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 표시를 위한 입력, 메모 입력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 메모 표시를 위한 입력 등의 단말(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입력부(13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130 provides an input mean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10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may perform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110 such as an input for displaying an image, an input for switching to a memo input screen, an input for displaying a memo, and the like through the input unit 130. have.

표시부(114)는 상술한 표시 제어부(11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이미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4)는 메모 입력화면, 메모 표시화면 등을 더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an image im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4 may further display a memo input screen, a memo display screen, and the like.

표시부(114)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터치 스크린(1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115)을 터치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The display unit 114 may include a touch screen 115 that serves as an input means.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perform an input by touching the touch screen 115.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부(117)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신부(117)는 통신망(미도시)을 통하여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117)는 단말(110) 이외의 다른 장치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7 may further include a memo input func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7 transmits and receives image image dat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7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nd data with other devices than the terminal 110.

예를 들어, 통신부(117)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7 may download a video image from a server (not shown) providing content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저장부(116)는 영상 이미지 및 메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이미지는 사진, 동영상 캡쳐 이미지, 화상 통화 중 캡쳐 이미지, 스케치 등의 그림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The storage unit 116 may store a video image and memo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image may include a picture, a video captured image, a captured image during a video call, a sketch image such as a sketch.

또한, 저장부(116)는 영상 이미지와 메모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영상 이미지와 메모 정보는 별개의 저장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대응되는 영상 이미지와 메모 정보는 서로의 색인 정보 를 포함하여 저장될 수 있다. 즉, A 영상 이미지와 대응되는 a 메모 정보는 A 영상 이미지의 색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A 영상 이미지는 a 메모 정보의 색인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저장된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6 may store the video image and the memo information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video image and the memo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separate storage areas. Each corresponding video image and memo information may be stored including index information of each other. That is, the 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 video image may be stored by further including index information of the A video image. In this case, the A video image is stored further including index information of a memo information.

따라서 메모 관리부(112)는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메모 관리부(112)는 저장부(116)에 저장된 메모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하여 요청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색인 정보를 통하여 선별하여 추출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emo manager 112 may extract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In detail, the memo manager 112 may select and extract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requested by the user from the memo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6 through index information.

한편, 단말(11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11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는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 이미지일 수도 있다.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terminal 110 may include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In this case, the image image stored in the terminal 110 may be an image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camera.

본 명세서에서 표시 제어부(111), 메모 관리부(112), 입력부(130), 표시부(114), 통신부(117) 및 저장부(116)는 기능적으로 표현하였다. 즉, 각각의 기능부는 분리되어 표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함이며, 하나의 회로 내에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the memo management unit 112, the input unit 130, the display unit 114, the communication unit 117, and the storage unit 116 are expressed functionally. That is, although each functional unit is expressed separately,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implemented in one circuit.

특히, 표시 제어부(111)와 메모 관리부(112)는 하나의 논리부로서 마이크로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display control unit 111 and the memo manager 112 may be implemented as a microcircuit as one logic unit.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110)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o far, the terminal 110 providing the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110)은 메모 입력 기능의 선택시, 사용자에게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회전 등)을 통하여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적는 듯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mo input function is selected, the terminal 110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looks like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an actual picture through a shape change (rotation, etc.) of a video image displayed to the user.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단말(110)이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by the terminal 1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단계 S210에서,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이미지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 이때, 선택 입력은 키 입력이나 터치 입력일 수 있다. In operation S210, the terminal 110 receives a selection of a video image from a user. In this case, the selection input may be a key input or a touch input.

예를 들어, 단말(110)이 키패드를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특정 버튼(확인 버튼이나 영상 이미지에 대한 숫자 버튼 등)을 입력하여 영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110 includes a keypad, the user may select a video image by inputting a specific button (such as a confirmation button or a numeric button for the video image).

또 다른 예를 들면, 단말(110)이 터치 스크린(115)을 구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썸네일 방식으로 표시된 영상 이미지(또는 영상 이미지의 제목)를 터치함으로써, 영상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when the terminal 110 includes the touch screen 115, the user may select the video image by touching the video image (or title of the video image) displayed in a thumbnail manner.

이어서, 단계 S220에서, 단말(110)은 단계 S210에서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220,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video image selected in step S210 on the display area.

이어서, 단계 S230에서,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ubsequently, in step S230, the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 memo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여기서, 메모 입력 기능의 선택은 상술한 영상 이미지의 선택과 유사한 방식 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뉴 항목에 확인 버튼을 누를 수 있고,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한 번의 터치로 선택할 수도 있다. Here, the selection of the memo input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 similar manner to the selection of the above-described video image. For example, a user may press a confirmation button on a menu item and select with a single touch of a displayed video image.

이어서, 단계 S240 및 단계 S250에서, 단말(110)은 단계 S230에서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된 경우, 해당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메모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Subsequently, in steps S240 and S250, when the memo input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30, the terminal 110 displays a memo input screen indicating the shape change of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여기서, 형상 변화는 영상 이미지가 회전으로 마치 사진의 뒷면을 표시하는 듯한 형상 변화일 수 있다. 혹은, 영상 이미지가 종이처럼 넘겨지는 그래픽을 통하여 마치 사진의 뒷면을 표시하는 듯한 형상 변화일 수 있다.Here, the shape change may be a shape change as if the video image rotates to display the back side of the picture. Alternatively, it may be a shape change as if the back side of the picture is displayed through the graphic that the image image is handed over like pap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영상 이미지에 메모를 입력하면서,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입력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provided with a user interface similar to inputting a memo on the back of an actual picture while inputting a memo on a video image.

메모 입력화면은 해당 영상 이미지의 제목이나 해당 영상 이미지의 축소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영상 이미지의 제목이 없는 경우, 메모 입력화면은 해당 영상 이미지가 저장된 일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mo input screen may include a title of the video image or a thumbnail of the video image.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title of the video image, the memo input screen may include a date and time at which the video image is stored.

한편, 단계 S230에서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단말(110)은 영상 이미지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혹은 단말(110)은 도면에 도시하지느 않았지만, 사용자로부터 슬라이드쇼 기능의 설정이 있는 경우, 설정된 슬라이드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0 that the memo input function is not selected by the user, the terminal 110 may maintain the display of the video image.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110 may perform the set slideshow function when the slideshow function is set by the user.

이후, 단계 S260에서,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메모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115)을 통하여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Thereafter, in step S260, the terminal 110 may receive a memo from the user. As described above, the user may input a memo through the keypad or the touch screen 115.

이어서, 단계 S270에서, 단말(110)은 단계 S260에서 입력된 메모를 해당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한다. Subsequently, in step S270, the terminal 110 stores the memo input in step S260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단말(110)은 영상 이미지를 대응하는 메모 정보의 색인 정보와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 정보를 대응하는 영상 이미지의 색인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10 may store the video image together with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emo information or store the memo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dex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따라서 별개의 영역에 영상 이미지와 메모 정보를 저장한 경우에도 메모 정보는 해당 영상 이미지와 대응되어 추출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the video image and the memo information are stored in separate areas, the memo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지금까지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저장된 메모의 표시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o far,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has been describ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2. Hereinafter, the display process of the stored mem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메모의 표시 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stored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말(110)은 영상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말(110)은 추출된 메모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메모 표시화면은 해당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전환된 화면이다.When the terminal 110 displays a video image, the terminal 110 extracts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extracted memo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the memo display screen is a screen which is switch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저장된 메모의 표시 과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display process of the stored memo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단계 S310 및 단계 S320에서, 단말(110)은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영상 이미지의 선택을 입력 받는다(S310). 그리고 단말(110)은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한다(S320). In steps S310 and S320, the terminal 110 receives a selection of an image image from the user 110 (S310). In operation S320, the terminal 110 displays the selected video image on the display area.

이때, 선택 입력은 키 버튼이나 터치을 통한 입력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In this case, the selection input may be an input through a key button or a touch as described above.

이어서, 단계 S330에서, 단말(110)은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operation S330, the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deo image is stored.

이어서, 단계 S340에서, 단말(110)은 단계 S330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메모의 존재를 표시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step S340, when the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deo image is sto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30,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the presence of the memo in the display area.

예를 들어, 단말(110)은 "메모 보기"의 메뉴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전에 해당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menu item of “view memo”. Accordingly, the user may know that a mem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has been previously input.

한편, 단계 S330에서의 판단 결과, 선택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110)은 선택된 영상 이미지의 표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110)은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 항목을 표시하고, 메뉴 입력 기능이 선택되면 도 2에서 설명한 메뉴 입력 기능 제공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의 설명에서 자세히 살펴본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video image is not stor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30, the terminal 110 may maintain the display of the selected video image.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menu item for selecting a memo input function, and when the menu input function is selected, the menu input function providing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may be performed. A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2,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어서, 단계 S350에서,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메모 표시를 위한 입력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operation S350, the terminal 110 determines whether an input for displaying a memo is selected from the user.

여기서, 메모 표시 입력은 메뉴 항목의 선택(키버튼을 누르거나 터치에 의한)일 수도 있고, 표시된 영상 이미지를 터치하는 입력일 수도 있다. Here, the memo display input may be a selection (by pressing a key button or a touch) of a menu item or an input for touching a displayed video image.

그리고 단계 S360에서, 단말(110)은 단계 S350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메모 표시가 선택된 경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회전 등)를 통하여 메모 표시화면으로 전환한다. In operation S360, when the memo display is selected by the us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operation S350, the terminal 110 switches to the memo display screen through a shape change (rotation, etc.)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이 경우, 형상 변화는 사진의 뒷면을 보여주는 듯한 변화로서, 영상 이미지의 180도 회전이나, 종이를 뒤집는 것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shape change is a change as if the back side of the picture is shown, and may be a 180-degree rotation of the video image or an inversion of paper.

이어서, 단계 S370에서, 단말(110)은 메모 표시화면을 표시영역에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단말(110)은 해당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메모 정보를 형상 변화를 통하여 전환된 메모 표시화면의 메모 영역에 표시한다.Subsequently, in step S370, the terminal 110 displays the memo display screen on the display area. In detail, the terminal 110 extracts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The extracted memo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memo area of the memo display screen which is converted through the shape chang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말(110)은 사용자에서 메모 표시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메모 표시화면은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표시한다. 이때, 메모 표시화면은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전환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provides a memo display screen in the user. Here, the memo display screen displays a mem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At this time, the memo display screen is switch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한편, 형상 변화는 영상 이미지의 뒷면이 표시되는 듯한 것으로, 영상 이미지의 180도 회전이나 종이를 넘기는 듯한 그래픽 효과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hape change is that the back side of the video image is displayed, it may be a graphic effect such as rotating the image 180 degrees or turning the paper.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저장된 메모의 표시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을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So far, the display process of the memo stor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Hereinafter,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10)은 영상 이미지의 뒷면을 표시하는 듯한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110)은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입력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may provide a memo input screen through a shape change as if displaying the back side of the video image. That is, the terminal 110 provides a user interface similar to inputting a memo on the back of an actual picture.

도 4를 참조하여, 단말(110)이 소정의 영상 이미지(조각상 촬영 사진 이미지)(410)를 표시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는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is assumed that the terminal 110 displays a predetermined video image (fragment photographed picture image) 410.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 memo input function.

여기서, 메모 입력 기능의 선택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 영상 이미지(410)를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도 4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설정된 메모 입력 기능 키 버튼을 눌러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표시된 영상 이미지를 터치한 후 터치의 드레그(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터치의 이동)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110)은 드레그를 메모 입력 기능의 선택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Here, the selection of the memo input function may be to touch the displayed video image 410 as shown in FIG. 4.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FIG. 4, a user may select a memo input function by pressing a set memo input function key button. Alternatively, the user may touch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then drag the touch (move the touch to maintain the contact state), and the terminal 110 may recognize the drag as a selection of a memo input function.

그리고 단말(110)은 사용자의 메모 입력 기능의 선택에 따라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420)를 통한 메모 입력화면(430)을 표시한다.In addition, the terminal 110 displays the memo input screen 430 through the shape change 420 of the video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memo input function selection.

상세하게는, 단말(110)은 표시된 조각상 사진 이미지의 180도 회전(420)을 통하여 그 사진의 뒷면을 표시하는 그래픽 효과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단말(110)은 메모 표시화면(430)으로 전환한다. 단말(110)은 메모 표시화면(430)에 해당 영상 이미지의 제목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단말(110)은 메모 표시화면(430)에 영상 이미지의 촬영 일시(또는 저장 일시)를 표시하거나, 해당 영상 이미지의 축소판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미도시). In detail, the terminal 11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with a graphic effect of displaying the back side of the photograph through the rotation 420 of the displayed statue photo image. Thereafter, the terminal 110 switches to the memo display screen 430. The terminal 110 may further display the title of the video image on the memo display screen 430. Alternatively, the terminal 110 may display a photographing date and time (or storage date and time) of the video image on the memo display screen 430 or further display a thumbnail of the video image (not shown).

사용자는 표시된 메모 입력화면(430)을 통하여 해당 영상 이미지(410)에 대한 메모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메모는 해당 영상 이미지(410)와 대응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이후에 해당 영상 이미지(410)와 함께 입력된 메모가 표시될 수 있다. The user may perform memo input on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410 through the displayed memo input screen 430. The input memo is stored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410. Thereafter, a memo input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video image 410 may be displayed.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마치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입력하는 것과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110), PMP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에 전자 메모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실제 사진의 뒷면에 메모를 작성하는 것과 유사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0 provides the user with a user interface similar to inputting a memo on the back of an actual picture. Therefore, the user may feel similar to writing a memo on the back of the actual picture even when the electronic memo is written on the pictur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a PMP or a 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It may also include the implementation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에 대한 순서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된 메모의 표시 과정에 대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isplay process of a stored mem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 입력 기능의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단말 111: 표시 제어부110: terminal 111: display control unit

112: 메모 관리부 130: 입력부112: memo management unit 130: input unit

114: 표시부 115: 터치 스크린114: display unit 115: touch screen

116: 저장부 117: 통신부116: storage unit 117: communication unit

410: 영상 이미지 420: 형상 변화410: video image 420: shape change

430: 메모 입력화면430: memo input screen

Claims (11)

단말에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 for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the video image in the terminal, (a)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video image selected by a user on a display area among the captured or stored video images; (b)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b) selecting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c)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c) switching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d) 메모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를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and (d) when a memo is input,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b) 단계는,In step (b),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터치 입력 및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입력키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And a memo input key button input for executing the memo input function and the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c) 단계는,In step (c),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가 회전하는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And changing to a memo input screen through a shape change in which the displayed video image is rot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d) 단계 이후에,After step (d), (e)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e) extracting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ideo image when the stored video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And (f) 상기 추출된 메모가 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형상 변화를 통하여 상기 메모 정보를 표시하는 메모 표시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f) indicating that the extracted memo exists, and switching to a memo display screen displaying the memo information through the shape chang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ay.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f) 단계는,Step (f), 설정된 비율로 축소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And displaying the video image reduced in a set ratio.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에 있어서,In the terminal providing a function for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a video image,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 video image selected from a user among the captured or stored video images;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 받는 입력부;An input unit to select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 및A display control unit which switches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when the memo input function is selected; And 메모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메모를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모 관리부를 포함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If a memo is input, the terminal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comprising a memo management unit for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입력부는,The input unit,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터치 입력 및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실행하는 메모입력키 버튼 입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입력 기능을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And a memo input function selected by using one of a touch input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a memo input key button input for executing the memo input func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표시 제어부는,The display control unit,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가 회전하는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A terminal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wherein the memo input function is switched to a memo input screen through a shape change in which the displayed video image rotate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메모 관리부는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가 상기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 정보를 추출하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메모가 있음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형상 변화를 통하여 상기 메모 정보를 표시하는 메모 표시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When the stored video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the memo manager extracts mem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ed video image, and the display controller indicates that the extracted memo is present, and displays the shap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The terminal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switching to a memo display screen for displaying the memo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표시 제어부는,The display control unit, 설정된 비율로 축소된 상기 영상 이미지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The terminal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further displaying the video image reduced to a set ratio. 단말에서 영상 이미지에 대응하는 메모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n electronic device on which a program comprising a typed command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function of inputting a memo corresponding to a video image in a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촬영된 또는 저장된 영상 이미지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영상 이미지를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video image selected by a user on a display area among the captured or stored video images; (b) 사용자로부터 메모 입력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b) selecting a memo input function from a user; (c)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의 형상 변화를 통하여, 메모 입력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c) switching to a memo input screen by changing a shape of the displayed video image; And (d) 메모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메모를 상기 표시된 영상 이미지와 대응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nd (d)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wherein the memo is inputted, and storing the input memo in correspondence with the displayed video image.
KR1020080032079A 2008-04-07 2008-04-07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Withdrawn KR200901067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079A KR20090106755A (en) 2008-04-07 2008-04-07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079A KR20090106755A (en) 2008-04-07 2008-04-07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6755A true KR20090106755A (en) 2009-10-12

Family

ID=4153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079A Withdrawn KR20090106755A (en) 2008-04-07 2008-04-07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06755A (en)

Cited B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94046A3 (en) * 2010-01-28 2011-12-15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US8239785B2 (en) 2010-01-27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Edge gestures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WO2013059508A1 (en) * 2011-10-19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facilitate asynchronous communication
US8473870B2 (en) 2010-02-25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drag gesture
US8539384B2 (en) 2010-02-25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US8707174B2 (en)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8751970B2 (en) 2010-02-25 2014-06-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8799827B2 (en)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KR101476653B1 (en) * 2008-09-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39659B2 (en) 2009-12-30 2015-05-26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052820B2 (en) 2011-05-27 2015-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075522B2 (en)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229918B2 (en) 2010-12-23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9261964B2 (en) 2005-12-30 2016-0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9274682B2 (en)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9310994B2 (en)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393363B2 (en) 2009-09-02 2016-07-19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9421321B2 (en) 2009-12-30 2016-08-23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454304B2 (en)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518813B2 (en) 2009-12-30 2016-12-13 Medtronic Minimed, Inc. Sensing systems and methods
WO2017014348A1 (en) * 2015-07-21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9696888B2 (en) 2010-12-20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9943332B2 (en) 2009-09-02 2018-04-17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965165B2 (en)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10254955B2 (en) 2011-09-10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0579250B2 (en) 2011-09-01 2020-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ranging tiles
US10969944B2 (en) 2010-12-23 2021-04-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1272017B2 (en) 2011-05-27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notifications manifest

Cited B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4457B2 (en) 2005-12-30 2017-03-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9946370B2 (en) 2005-12-30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9952718B2 (en) 2005-12-30 2018-04-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10019080B2 (en) 2005-12-30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9261964B2 (en) 2005-12-30 2016-02-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KR101476653B1 (en) * 2008-09-17 2014-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US9943332B2 (en) 2009-09-02 2018-04-17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393363B2 (en) 2009-09-02 2016-07-19 Medtronic Minimed, Inc. Inser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9518813B2 (en) 2009-12-30 2016-12-13 Medtronic Minimed, Inc. Sensing systems and methods
US9421321B2 (en) 2009-12-30 2016-08-23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039659B2 (en) 2009-12-30 2015-05-26 Medtronic Minimed, Inc. Connection an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8239785B2 (en) 2010-01-27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Edge gestures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WO2011094046A3 (en) * 2010-01-28 2011-12-15 Microsoft Corporation Cross-reference gestures
US10282086B2 (en) 2010-01-28 2019-05-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857970B2 (en) 2010-01-28 2018-01-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9411498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10268367B2 (en) 2010-02-19 2019-04-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310994B2 (en)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274682B2 (en)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8799827B2 (en) 2010-02-19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Page manipulations using on and off-screen gestures
US9965165B2 (en)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8539384B2 (en) 2010-02-25 2013-09-17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US9454304B2 (en)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US8473870B2 (en) 2010-02-25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drag gesture
US9075522B2 (en)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US8751970B2 (en) 2010-02-25 2014-06-10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8707174B2 (en) 2010-02-25 2014-04-22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11055050B2 (en) 2010-02-25 2021-07-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device pairing and combined display
US9696888B2 (en) 2010-12-20 2017-07-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9229918B2 (en) 2010-12-23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11126333B2 (en) 2010-12-23 2021-09-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10969944B2 (en) 2010-12-23 2021-04-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11698721B2 (en) 2011-05-27 2023-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11272017B2 (en) 2011-05-27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pplication notifications manifest
US9535597B2 (en) 2011-05-27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9052820B2 (en) 2011-05-27 2015-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10303325B2 (en) 2011-05-27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10579250B2 (en) 2011-09-01 2020-03-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rranging tiles
US10254955B2 (en) 2011-09-10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465507B2 (en) 2011-10-19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echniques to facilitate asynchronous communication
WO2013059508A1 (en) * 2011-10-19 2013-04-25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to facilitate asynchronous communication
US10656750B2 (en) 2012-11-12 2020-05-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US9946383B2 (en) 2014-03-14 2018-04-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US10409424B2 (en) 2015-07-21 2019-09-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014348A1 (en) * 2015-07-21 2017-01-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6755A (en) Method for providing a memo input functio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terminal and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KR10117087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photo management
EP27707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an image in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dual camera
US9888207B2 (en) Automatic camera selection
US20190258371A1 (en)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306607B (en) Screenshot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10087739A1 (en) Routing User Data Entries to Applications
EP3103250B1 (en) Highlighting univiewed video messages
EP3547218A1 (en) Fil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2149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3311968B (en) Application association method and device
US20190246064A1 (en) Automatic camera selection
US20150264307A1 (en) Stop Recording and Send Using a Single Action
US20150264309A1 (en) Playback of Interconnected Videos
CN111638837A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0968364A (en) Method and device for adding shortcut plug-in and intelligent equipment
CN108733772A (en) A kind of file delet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7273013A (en) Text handling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849092A (en) Content shar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190143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US20150264305A1 (en) Playback of Interconnected Videos
CN112462995A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terminal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7750177A (en) Image display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CN119271641A (en) File sharing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431576A (en) Multimedia file management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