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466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466A
KR20060127466A KR1020050048468A KR20050048468A KR20060127466A KR 20060127466 A KR20060127466 A KR 20060127466A KR 1020050048468 A KR1020050048468 A KR 1020050048468A KR 20050048468 A KR20050048468 A KR 20050048468A KR 20060127466 A KR20060127466 A KR 20060127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r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대
국승표
박경진
곽봉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5004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7466A/en
Publication of KR20060127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46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divided scree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easily use a wanted additional service by displaying plural service menus such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efficiently find various added service menus on a small sized scr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divided screen comprises a display unit(30), an inputting unit(40), and a controller(50). The display unit(30) has a region where plural displaying parts can be discriminated. The inputting unit(40) enables a user to input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among the plural display parts. The controller(50) enlarges the selected display part within the region and displays the enlarged display part on the display unit(30). The plural display parts have at least one service menu for offering the added service, and a URL of an Internet site is allocated at the service menu for offering a corresponding unique added service.

Description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HAVING VARIABLY DIVID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MOBILE TERMINAL HAVING VARIABLY DIVIDED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1 illust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부가 서비스 메뉴가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n additional service menu is divid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형태의 부가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n which a supplementary service menu of a modified form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복수의 표시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가로 형태로 부가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n additional service menu is displayed in a horizontal form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가로 형태로 복수의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re displayed in a horizontal form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이동 통신 단말기 20: 본체1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0: main body

30: 표시부 31: 소정 영역30: display unit 31: predetermined area

32: 제1 표시부 33: 제2 표시부32: first display unit 33: second display unit

34: 경계선 35: 고지 영역34: boundary 35: highland area

36: 소프트키 영역 40: 입력부36: softkey area 40: input

50: 제어부 51 내지 53: 표시부50: control unit 51 to 53: display unit

61 내지 63: 경계선 60: 메모리61 to 63: boundary 60: memory

70: 오디오부 80: 듀플렉서70: audio unit 80: duplexer

81: 송신부 82: 수신부81: transmitter 82: receiv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서비스 메뉴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capable of efficiently displaying a plurality of service men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현재 이동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 히 통화 기능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기능이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와 인터넷을 결합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이메일(E-mail) 전송 및 채팅(chatting) 등이 가능하게 되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veloped not only to provide a call function but also to perform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wireless Internet services combin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the Internet are becoming popular, and short message service (SMS), email (E-mail) transmission, and chatting are availabl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이와 같이 다양한 부가 서비스가 제공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는 부가 서비스 선택을 위한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uch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re provided, a service menu for selecting an additional servi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is configured to select a desired additional service.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특성상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 기능을 갖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소형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그림의 크기 또는 개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 메뉴를 하나의 화면에 모두 디스프레이할 수는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에 소수의 상위 부가 서비스 집합만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키을 누름으로써 특정 상위 부가 서비스 집합을 선택하면, 선택된 해당 상위 부가 서비스 집합에 속한 다수의 하위 부가 서비스 메뉴들이 화면에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다시 버튼키을 이용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상기 하위 부가 서비스 메뉴들을 검색할 수 있고, 원하는 부가 서비스에 커서를 이동한 후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o have a function of providing various services while pursuing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since the size or number of characters or pictures that can be displayed on a small screen is limited,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various service menus all on one screen. Therefore, conventionally, only a small number of higher level additional service sets ar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higher value added service set by pressing a button key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lurality of lower value added service menus belonging to the selected higher value added service set are displayed on a screen in a pull-down manner. do. Then, the user can search the lower additional service menu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using the button key again, and move the cursor to the desired additional service and press the select key to use the desired additional service.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에는 소수의 상 위 부가 서비스 집합만이 디스플레이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미리 알지 못하는 경우에는 모든 상위 메뉴 집합을 검색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ince only a few upper level service sets ar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oes not know in advance where the desired service is located, all the upper menu sets have to be searched. There i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effort.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채용되는 화면은 소형으로 구성되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 메뉴의 크기는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특히 노약자 또는 시력이 낮은 사람들은 소형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서비스 메뉴를 원활히 구별 및 선택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각종 이동 통신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creen employ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mpact, the size of the service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is limit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or people with low vision to easily distinguish and select the service menu displayed on the small screen, thereby reducing the desire for the use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화면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 메뉴를 효율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하여 용이하게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efficiently display various additional service menus on a small screen, thereby easily using a desired additional ser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는, 복수의 표시부로 구분되는 소정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표시부 중 하나의 표시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표시부를 상기 소정 영역 내에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spli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enlarge the display unit selected by the input unit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display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부를 갖는 소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표시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의 면적을 상기 제1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cree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isplay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edetermined area having at least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ing a first step; 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step of displaying an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is input; And a fourth step of activating the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부를 갖는 소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2 표시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의 면적을 상기 제1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2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4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cord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edetermined area having at least a first display part and a second display par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first display part in a display par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a first step; 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A third step of displaying an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is input; And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ourth step of activating the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본체(20) 상부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30)와, 본체(20)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4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형 휴대폰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바 형(bar type), 플립 형(flip type), 슬라이드 형(slide type), 회전형(swing type)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뿐만 아니라, PDA 및 각종 휴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play unit 30 formed above the main body 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0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It includes an input unit 40 for inputting information for selecting a letter, number, or picture. In FIG. 1, a folding type mobile phone is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orms such as a ba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nd a swing type may be used. Can be applied to your phon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not only a mobile phone but also a PDA and various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로 구분되는 소정 역영(31)과, 고지 영역(annunciator)(34) 및 소프트키 영역(35)를 포함한다. 상기 도 1에는 상기 소정 영역(31)이 디스플레이부(30)의 중앙의 일부에 도시되고 있으나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 영역(3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전체 영역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30 includes a predetermined backlight 31 divided into at least a first display unit 32 and a second display unit 33, an announcer 34, and a softkey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n FIG. 1, the predetermined region 31 is shown in a part of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30, but the position thereof may be changed, and the predetermined region 31 may cover the entire region of the display unit 30. You can use them all.

상기 제1 표시부(32) 및 제2 표시부(33)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 메뉴바(제1 내지 제7 서비스)가 형성된다. 그리고 부가 서비스 메뉴들은 부가 서비스 사업자별, 서비스 종류별 또는 서비스 이용율 등의 다양한 기준에 따라 상기 제1 표시부(32) 및 제2 표시부(33)에 나뉘어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32) 또는 상기 제2 표시부(33)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도 1은 현재 상기 제1 표시부(32)가 선택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7 서비스)에는 각각 해당하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이 할당된다. Various additional service menu bars (first to seventh services)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re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The additional service menus may be dividedly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such as additional service providers, service types, or service utilization rates. The first display unit 32 or the second display unit 33 may be selected by a user's selection, and FIG. 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currently selected. Each of the additional service menus (first to seventh services) is assigned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of an internet site providing a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

상기 고지 영역(annunciator)(34)에는 안테나 성능 및 배터리 잔량 등이 표시된다. 상기 소프트키 영역(35)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된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또는 특정 정보를 알리기 위한 영역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announcer 34 displays antenna performance and battery level. The softkey area 35 displays a menu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or an area for notifying specific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may be manufactured by various display devices such a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입력부(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숫자 또는 그림 등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부(40)는 숫자키, 방향키 및 각종 기능키(통화키, 종료키, 메뉴키, 확인키 등) 등으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방향키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40)에 형성된 다수의 부가 서비스 메뉴를 스크롤링(scrolling) 하여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특정 부가 서비스에 할당된 번호키를 직접 누름으로써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40 receives information for selecting letters, numbers, pictures, etc.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 by a user. The input unit 40 is formed of numeric keys, direction keys, and various function keys (call key, end key, menu key, confirmation key, etc.). The user may scroll through a plurality of additional service menus formed in the input unit 40 using the direction keys to move a cursor or directly press a number key assigned to a specific additional service to select a desired additional service.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ariable split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시 단말기(10)는 디스플레이부(30)와, 입력부(40)와, 제어부(50)와, 메모리(60)와, 오디오부(70)와, 듀플렉서(Duplexer)(80)와, 송신부(81) 및 수신부(8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30, an input unit 40, a controller 50, a memory 60, and an audio unit 70. And a duplexer (80), a transmitter (81) and a receiver (82).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표시부로 구분되는 소정 영역(31)을 갖는다. 상기 소정 영역(31)은 적어도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는 각각 고유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7 서비스)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7 서비스)에는 각각 고유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사이트의 URL이 할당된다. The display unit 30 has a predetermined area 31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area 31 is configured to have at least a first display part 32 and a second display part 33, and the first display part 32 and the second display part 33 each provide a plurality of unique additional services. An additional service menu (first to seventh services) of is formed. The plurality of service menus (first to seventh services) are assigned URLs of Internet sites for providing unique additional services, respectively.

상기 입력부(40)는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 형성된 복수의 표시부 중 특정 표시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상기 소정 영역(31)이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입력부(40)는 상기 제1 표시부(32) 또는 상기 제2 표시부(33)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40)는 상기 제1 표시부(32) 또는 상기 제2 표시부(33)에 형성된 특정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다. The input unit 4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display unit from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region 31.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predetermined region 31 includes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the input unit 40 may be the first display unit 32 or the second display unit.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display unit 33 is input. In addition, the input unit 40 receives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service menu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or the second display unit 33.

상기 제어부(5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40)에 입력되는 선택신호에 의하여 선택되는 특정 표시부를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30)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선택된 특정 표시부에 형성된 다수의 서비스 메뉴 중 하나의 서비스 메뉴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연결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부(40)에 제1 표시부(32)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1 표시부(3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또한 상기 제1 표시부(32) 내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에 각각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선택되지 않은 제2 표시부(33)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소정 영역(31) 내에서 축소하여 표시하며, 상기 제2 표시부(33) 내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5 내지 제7 서비스)에 각각 할당된 URL은 비활성화시킨다. 만약, 이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부(40)에 상기 제2 표시부(33)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상기 제2 표시부(33)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표시부(33)에 내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5 내지 제7 서비스)에 각각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며, 상기 제1 표시부(32)는 축소하고 내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의 URL을 비활성화시킨다.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nlarges a specific display unit selected by the selection signal input to the input unit 40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Display on the display unit 30. In addition, when one service menu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ervice menus formed in the selected specific display unit, the controller 50 connects an Internet site corresponding to the URL assigned to the selected service menu to provide a corresponding service.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input to the input unit 40 by the user, the controller 50 sets the first display unit 32 of the display unit 30. The enlarged display is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and the URLs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s (first to fourth services) formed in the first display unit 32 are activa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reduces and displays the unselected second display unit 33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of the display unit 30, and displays an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33 ( URLs respectively assigned to the fifth to seventh services) are deactivated. If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input to the input unit 40 by the user,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second display unit 33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The display is enlarged and activated, and the URLs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s (the fifth to seventh services) formed therein in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activated, and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reduced and the internal service menu ( Deactivate the URLs of the first to fourth services).

상기 메모리(60)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0)의 분할 화면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및 제어부(50)에 의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The memory 60 i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divided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 and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is is performed, data input / output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set area.

상기 오디오부(70)는 제어부(5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 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부(70)는 수신부(82)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SPK)에 음성신호로서 송출한다. The audio unit 70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MIC into a digita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In addition, the audio unit 70 converts a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er 82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SPK as a voice signal.

상기 듀플렉서(8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미 도시)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The duplexer 80 communicates with a base station (not shown) through an antenna ANT and separates a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상기 송신부(81)는 상기 입력부(40)에 입력된 정보 및 오디오부(36)로부터 제공된 디지털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80)를 거쳐 안테나(AT)를 통해 송신한다. The transmitter 81 filters, amplifie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unit 40 and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audio unit 36 through the duplexer 80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 AT.

상기 수신부(82)는, 상기 듀플렉서(80)에 의해 분리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미약한 수신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The receiver 82 receives a radio signal separated by the duplexer 80, amplifies, filters, and outputs the weak received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부가 서비스 메뉴가 분할되어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n additional service menu is divided and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소정 영역(31)에 제1 표시부(32) 및 제2 표시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소정 영역(3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부 영역 또는 전 영역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32) 및 제2 표시부(33)의 경계는 상기 소정 영역(31)에서 경계선(34)에 의하여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display unit 32 and a second display unit 33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31. The predetermined area 31 may be formed using a partial area o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30.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splay portion 32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33 is divided by the boundary line 34 in the predetermined region 31.

상기 도 3은 제1 표시부(32)가 선택된 경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제1 표시부(32)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표시부 (3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부(32)가 선택됨으로써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표시부(32)가 상기 제2 표시부(33)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기 경계선(34)을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우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표시부(33)에 형성된 복수의 서비스 메뉴(제5 내지 제7 서비스)를 축소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5 내지 제7 서비스 메뉴에 각각 할당된 URL(제2 URL)은 불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32) 내부에 상기 제1 표시부(32) 내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에 각각 할당된 URL(제1 URL)을 활성화시킨다. 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or an initial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of the display unit 30.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part 32 is activated by being selected, the boundary line 34 may be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so that the first display part 32 has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display part 33. Right on the inside. Then, the plurality of service menus (the fifth to seventh services) form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reduced and displayed, and the URLs (second URLs) assigned to the fifth to seventh service menus are deactivated. . The first display unit 32 activates URLs (first URLs) assigned to additional service menus (first to fourth services) formed in the first display unit 3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된 형태의 부가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on which a supplementary service menu of a changed form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과 같이 제1 표시부(32)가 선택된 상태에 있다가, 이후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입력부(40)에 제2 표시부(33)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30)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표시부(33)가 선택됨으로써 상기 제2 표시부(33)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33)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부(33)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33)가 상기 제1 표시부(32)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기 경계선(34)를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32)에 형성된 복수의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를 축소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서비스 메뉴에 각각 할당된 URL(제1 URL)은 비활성화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2 표시부(33) 내부에 상기 제2 표시부(33) 내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5 내지 제7 서비스)에 각각 할당된 URL(제2 URL)을 활성화시킨다. 4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as shown in FIG. 3, and then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input to the input unit 4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The display unit 30 is shown. Referring to FIG. 4,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activated by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33,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enlarg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31 of the display unit 30. To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selected, the boundary line 34 is left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so that the second display unit 33 has a larger area than the first display unit 32. Move to. The plurality of service menus (first to fourth services)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are reduced in size, and the URLs (first URLs) assigned to the first to fourth service menus are deactivated. Subsequently, the URLs (second URLs)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s (the fifth to seventh services) form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activat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3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복수의 표시부가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는 소정 영역(31)에 2개 이상의 복수의 표시부(51 내지 53)가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표시부(51 내지 53)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메뉴를 갖는 서비스 집합(제1 내지 제n 서비스 집합)이 형성된다. 상기 소정 영역(3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부 영역 또는 전 영역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부(51 내지 53)의 경계는 상기 소정 영역(31)에서 경계선(61 내지 63)에 의하여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two or more display units 51 to 53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31. Each of the display units 51 to 53 is provided with a service set (first to n-th service set) having at least one service menu. The predetermined area 31 may be formed using a partial area o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30. The boundarie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51 to 53 are divided by the boundary lines 61 to 63 in the predetermined region 31.

상기 도 5는 제2 표시부(52)가 선택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30)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2 표시부(52)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표시부(5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계선(61,62)이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52)의 면적이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되어 표시된다.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52)를 확대하여 표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부(52)의 좌측 경계선(61)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 표시부(52)의 우측 경계선(62)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양측의 경계선(61,62)을 모두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52)의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은 활성 화되고, 선택되지 않은 다른 표시부(51, 53)의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은 불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화면에 복수의 표시부(51 내지 53)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많은 부가 서비스를 하나의 화면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FIG. 5 illustrates a state of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selected.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selected, the boundary lines 61 and 62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52 are mov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31, whereby the area of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52 is increased. This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In order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52, for example, the left boundary line 61 of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moved to the left, or the right boundary line 62 of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left. ) May be moved to the right side, and both boundary lines 61 and 62 may be moved. The URL assigned to the service menu of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52 is activated, and the URL assigned to the service menu of the other display units 51 and 53 that is not selected is deactivated. As described abov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isplayi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51 to 53 on one screen, the user can easily use more additional services on on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가로 형태로 부가 서비스 메뉴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n additional service menu is displayed in a horizontal form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 형태의 디스플레이부(30)는 가로 길이(W)가 세로 길이(L)보다 긴 형태를 갖는다는 점에서, 상기 도 3내지 6에 도시된 가로 길이(W)가 세로 길이(L)보다 작은 세로 형태의 디스플레이부와 구별된다. 상기 가로 형태의 디스플레이부(30)는 소정 영역(31)에 제1 표시부(32) 및 제2 표시부(33)가 가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소정 영역(3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일부 영역 또는 전 영역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32) 및 제2 표시부(33)의 경계는 상기 소정 영역(31)에서 경계선(34)에 의하여 구분된다. 6 to 6, i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length W is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L. The illustrated horizontal length W is distinguished from the vertical display portion smaller than the vertical length L. FIG. In the horizontal display unit 30,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31 in a horizontal form. The predetermined area 31 may be formed using a partial area or the entire area of the display unit 30.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display portion 32 and the second display portion 33 is divided by the boundary line 34 in the predetermined region 31.

상기 도 6은 제1 표시부(32)가 선택된 경우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제1 표시부(32)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표시부(32)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표시부(32)가 선택됨으로써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표시부(32)가 상기 제2 표시부(33)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상기 경계선(34)을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하측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표시부(33)에 형성된 복수의 서비스 메뉴(제5 내지 제7 서비스)를 축소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5 내지 제7 서비스 메뉴에 각각 할당된 URL(제2 URL)은 불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32) 내부에 상기 제1 표시부(32) 내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에 각각 할당된 URL(제1 URL)을 활성화시킨다. 6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or an initial screen of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selected,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of the display unit 30. For example, when the first display part 32 is activated by being selected, the boundary line 34 may be dispos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so that the first display part 32 has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display part 33. It is located below in the inside. Then, the plurality of service menus (the fifth to seventh services) form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reduced and displayed, and the URLs (second URLs) assigned to the fifth to seventh service menus are deactivated. . The first display unit 32 activates URLs (first URLs) assigned to additional service menus (first to fourth services) formed in the first display unit 32.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소정 영역에 가로 형태로 복수의 표시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splay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are displayed in a horizontal form in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따른 복수의 디스플레이부(30)는 소정 영역(31)에 2개 이상의 복수의 표시부(51 내지 53)가 가로 형태로 배열되고, 각각의 표시부(51 내지 53)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메뉴를 갖는 서비스 집합(제1 내지 제n 서비스 집합)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51 내지 53)의 경계는 상기 소정 영역(31)에서 경계선(61 내지 63)에 의하여 구분된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display units 51 to 53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shape in a predetermined region 31, and each display unit 51 to 53 is arranged in a horizontal form. A service set (first to n-th service set) having at least one service menu is formed in. The boundaries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51 to 53 are divided by the boundary lines 61 to 63 in the predetermined region 31.

상기 도 7은 제2 표시부(52)가 선택된 경우의 디스플레이부(30)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2 표시부(52)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 표시부(52)의 양측면에 형성된 경계선(61,62)이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52)의 면적이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확대되어 표시된다.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52)를 확대하여 표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부(52)의 상측 경계선(61)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제2 표시부(52)의 하측 경계선(6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양측의 경계선(61,62)을 모두 이동시킬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52)의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이 활성화된다. 위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 내에 상기 복수의 표시부(51 내지 53)를 가로 형태로 배열하고, 상기 각각의 표시부(51 내지 53)내에 복수의 서비스 메뉴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더욱 많은 부가 서비스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7 illustrates a state of the display unit 30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selected. When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selected, the boundary lines 61 and 62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display unit 52 are mov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31, whereby the area of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52 is increased. This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In order to enlarge and display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52, for example, the upper boundary line 61 of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moved upward, or the lower boundary line 62 of the second display unit 52 is located. ) Can be moved downward, and both boundary lines 61 and 62 can be moved. Then, the URL assigned to the service menu of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52 is activated. By arrangi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51 to 53 in the horizontal form in the display unit 30 as described above,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service menus in the display units 51 to 53 in order from left to right. Many additional services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 scree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부(30)에, 적어도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를 갖는 소정 영역(31)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801). 여기서 상기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는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경계선(34)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제2 표시부(33)의 면적은 상기 제1 표시부(32)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적어도 제1 표시부(32)와 제2 표시부(33)를 포함하며, 더 많은 수의 표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8, first, the controller 5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displays a predetermined area 31 having at least a first display unit 32 and a second display unit 33 on the display unit 30. (Step 801). Here,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divided by the boundary line 34 in the predetermined area 31, and the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the first display unit 32. Have a smaller area. The predetermined area may include the at least first display part 32 and the second display part 33, and a larger number of display parts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32)에 형성된 복수의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에 할당된 각각의 해당 URL(제1 URL)을 활성화시킨다(단계 802).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입력부(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Then, each corresponding URL (first URL) assigned to the plurality of additional service menus (first to fourth services)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activated (step 802). Therefore, the user may receive the corresponding service by selecting one of the first to fourth services using the input unit 40.

이어서 제어부(50)는 상기 입력부(40)에 상기 제2 표시부(33)를 선택하기 위 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상기 제2 표시부(33)가 선택된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선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새로운 선택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803).Subsequently,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input to the input unit 40, and if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selected, proceeds to the next step. If it is not selected, the process continues to wait until a new selection signal is input (step 803).

이후 상기 입력부(40)에 상기 제2 표시부(33)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소정 영역(31) 내에서 상기 제2 표시부(33)의 면적을 상기 제1 표시부(32)의 면적보다 크게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한다(단계 804). 상기 단계 804는 상기 제1 표시부(32)와 상기 제2 표시부(33) 사이의 경계선(34)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표시부(32) 및 상기 제2 표시부(33)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33 is input to the input unit 40,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e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33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31. The display is displayed to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32 (step 804). In operation 804, a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boundary line 34 between the first display unit 32 and the second display unit 33. .

그리고 상기 제1 표시부(32)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1 내지 제4 서비스)에 할당된 URL(제1 URL)을 불활성화시킨다. Then, the URL (first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irst to fourth service)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32 is deactivated.

이어서 상기 선택된 제2 표시부(33)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제5 내지 제7 서비스)가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표시부(33)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제5 내지 제7 서비스)에 할당된 URL(제2 URL)을 활성화시킨다(단계 806).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화면, 즉 디스플레이부(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additional service menus (five to seventh services) form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33 are allocated so that the additional services (five to seventh services) formed on the selected second display unit 33 are used. Activate the URL (second URL) (step 806).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the display unit 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 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The screen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소형의 화면에 다양한 부가 서비스 메뉴를 효율적이면서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displaying a variety of additional service menu on the small scree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efficient and easy wa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desired additional service.

Claims (10)

복수의 표시부로 구분되는 소정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상기 복수의 표시부 중 하나의 표시부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및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And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선택되는 표시부를 상기 소정 영역 내에서 확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enlarge the display unit selected by the input unit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to display the display unit on the displa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부는 각각 소정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메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each have at least one service menu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ser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메뉴에는, 각각 해당하는 고유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넷 사이트의 URL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t least one service menu is assigned a URL of an internet site for providing a corresponding unique additional ser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표시부에 형성된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3, wherein the URL assigned to the service menu formed in the selected display unit is activated. 제4항에 있어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표시부에 형성된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은 불활성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4, wherein a URL assigned to a service menu formed on another display unit that is not selected is deactiv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상기 복수의 표시부 중 특정 표시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특정 표시부는 그 면적이 선택되지 않은 다른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variable division of claim 1, wherein when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a specific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units is input to the input unit, the specific display unit is displayed such that an area thereof is larger than an area of another display unit that is not sel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cree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표시부는 상기 소정 영역 내에서 인접하는 표시부와 경계선에 의하여 구분되며, 상기 경계선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각각의 표시부의 면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분할 화면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The variable split screen of claim 6, wherein each of the display units is divided by an adjacent display unit and a boundary line in the predetermined area, and the area of each display unit is changed by the movement of the boundary li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부를 갖는 소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edetermined area having at least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제1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제2 표시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의 면적을 상기 제1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및A third step of displaying an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is input; And 상기 제2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방법.And a fourth step of activating a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불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ourth step further comprises deactivating a URL allocated to an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in the first display unit.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제1 표시부와 상기 제1 표시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제2 표시부를 갖는 소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playing, o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edetermined area having at least a first display unit and a second display uni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제1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activating a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제2 표시부를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2 표시부의 면적을 상기 제1 표시부의 면적보다 크게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 및A third step of displaying an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larger than an area of the first display unit when a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second display unit is input; And 상기 제2 표시부에 형성된 부가 서비스 메뉴에 할당된 URL을 활성화시키는 제4 단계를 컴퓨터가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And a computer progra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ourth step of activating the URL assigned to the additional service menu formed in the second display unit.
KR1020050048468A 2005-06-07 2005-06-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Ceased KR200601274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468A KR20060127466A (en) 2005-06-07 2005-06-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468A KR20060127466A (en) 2005-06-07 2005-06-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466A true KR20060127466A (en) 2006-12-13

Family

ID=3773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468A Ceased KR20060127466A (en) 2005-06-07 2005-06-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7466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368B1 (en) 2006-12-04 2008-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Information list display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7121B1 (en) * 2006-12-19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multi view display and multi view display method
KR100829109B1 (en) 2006-10-26 2008-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divis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50571B1 (en) * 2007-02-2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Display a Web Page on a Mobile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109B1 (en) 2006-10-26 2008-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divis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2368B1 (en) 2006-12-04 2008-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Information list display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27121B1 (en) * 2006-12-19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multi view display and multi view display method
KR100850571B1 (en) * 2007-02-21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Display a Web Page on a Mobile Terminal
US8230334B2 (en) 2007-02-21 2012-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bpage presentation method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650B2 (en) Menu display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CA2673587C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JP535681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lectronics
KR100749018B1 (en) Mobile telephone user interface
US8522169B2 (en) Displaying web page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60053392A1 (en) Multilevel sorting and displaying of contextual objects
EP1032184A2 (en) A radiotelephone
US20090109189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andidate phone number lis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04004696A (en) Structur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r interfa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X2008000855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operation.
US20090303185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n improved operating mode
CN106547439A (en)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essage
US20080162971A1 (en) User Interface for Searches
KR100735412B1 (en) Method for fast short message search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transmit / receive number
US20140059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act specific delivery reports
KR2006012746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able split screen and its control method
KR100451141B1 (en) Method for realizing a menu using mobile phone
KR100810331B1 (en) How to search phone number on mobile terminal
KR1006300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key input interfa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6946B1 (en) How to configure menu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2638B1 (en) Display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13340B1 (en) A method of storing a phone number in a phone book datab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77606A (en) A method of displaying last menu item for mobile phone
KR101075717B1 (en) Menu display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60023633A (en) Incoming text message manage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